“전국 226개 시군구에 성혁명(성오염) 쓰나미를 막을 방파제 세우자.”
10일. 비온 뒤에 맑게 개인 하늘 아래 아름다운 모습을 한껏 드러낸 인천시 강화도 기독역사기념관에 파란색 깃발을 든 수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깃발과 사람들이 입은 티셔츠에는 ‘포괄적 차별금지법 반대’, ‘성혁명 반대’ 등의 글귀가 또렷이 새겨져있었다. 사람들의 표정에선 하나같이 결의가 느껴졌다. 제5차 거룩한방파제 국토순례가 시작되는 현장이었다.
지난 2023년 5월 부산에서 처음 시작된 국토순례는 그해 7월 2차 서해안, 10월 3차 동해안을 거쳐 올해 3월 4차 남해안까지 진행됐다. 이번에는 강화 김포 고양 파주 의정부 연천에 이어 강원도 철원 화천 양구 인제 설악항 등 총 14개 지역을 다음달 5일까지 27일 간 순례할 예정이다. 거리는 432㎞에 달한다.
이날 열린 출정식에는 지역 목회자들과 일반 시민들, 전 국가기관 공무원 등 다양한 사람들이 참석해 열기를 더했다. 설교를 맡은 조성만 강화기독교연합회 부회장은 “물꼬를 튼다는 것은 농부들에게만 중요한 게 아니다. 어디서든지 물꼬를 트는 게 가장 중요하다”며 “국토순례는 창조역사에 반하는 것을 막는 물꼬를 트는 역할을 한다. 이 일에 더욱 열정적으로 임할 때 큰 결실을 맺을 것이라 믿는다”고 말했다.
김세환 전 중앙선관위 사무총장은 “젠더 이데올로기와 성혁명 쓰나미가 사회를 삼킬 듯 밀려온다”고 진단했다. 이어 “귀한 사명의 자리에서 힘을 모을 때, 모세가 홍해를 갈라 바로와 애굽 군대를 물리친 것처럼 승리의 역사가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고 전했다.
이번 국토순례에는 과거 대비 청년들의 참여가 두드러졌다. 초기부터 참여하는 청년들은 물론 순례 과정에서 각 지역 청년들이 적지 않게 동참할 예정이다. 천안에서 온 유진욱(36) 씨는 “작년에 딸이 태어났다. 올바른 세상을 물려주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해 국토순례에 나서게 됐다”며 “완주를 목표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순례가 이어지는 14개 지역 모두에서 선포식이 열린다. 해당 지역에 있는 목회자들과 성도들이 대거 참여해 힘을 보탤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순례가 거쳐가는 지역에서의 영적 각성이 효과적으로 일어나길 기대하고 있다. 국토순례단 단장인 홍호수 목사는 “성혁명을 막을 수 있는 건 이 시대를 본받지 않는 목회자와 교인들 뿐”이라며 “국토순례를 통해 이들을 직접 만나 깨우고 하나로 모아서 연합운동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