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만 ‘급발진 주장’?…“신고자 절반 이상 50대 이하”

입력 2024-07-10 07:20 수정 2024-07-10 11:06
지난 2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인근 교차로 대형 교통사고 현장에서 경찰이 사고를 일으킨 역주행 제네시스 차량 인근을 통제하고 있다. 뉴시스

지난 10년간 정부기관에 접수된 ‘급발진 의심’ 사고 신고자 가운데 절반 이상은 50대 이하였던 것으로 파악됐다.

1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안태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한국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공단이 운영하는 자동차리콜센터가 2014년부터 올해 6월까지 10년6개월간 접수한 ‘급발진 주장’ 사고 신고 건수는 모두 456건이다.

이 중 신고자의 연령이 확인된 사례는 396건이다. 이들 사례를 신고자 연령별로 보면 60대가 122건으로 가장 많은 30.8%를 차지했다. 뒤이어 50대 108건(27.3%), 40대 80건(20.2%), 70대 46건(11.6%), 30대 30건(7.6%), 20대 7건(1.8%), 80대 3건(0.8%)으로 집계됐다.

60대 이상 고령층이 차량 결함에 의한 급발진을 사고 이유로 들어 신고한 사례(43.2%)보다 50대 이하가 신고한 사례(56.8%)가 더 많은 것이다.

지난 2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인근 교차로 대형 교통사고 현장에서 과학수사대가 현장조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최근 서울 시청역 역주행 사고 등 60대 이상 운전자들이 급발진을 원인으로 주장한 사고가 잇따르면서 ‘급발진은 고령층에 집중된다’는 인식이 퍼지고 있으나 실제로는 50대 이하에서도 급발진 의심 사고가 잦다는 점을 보여준다.

자동차급발진연구회 회장인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이날 연합뉴스에 “급발진 의심 사고는 다양한 연령층에서 자주 발생한다”며 “이번 시청역 사고로 고령 운전자가 주로 일으키는 사고로 잘못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고령자 운전 제한에 집중하기보다 비상자동제동장치(AEBS),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등 급발진 의심 사고를 막을 수 있는 장치의 도입을 확대해 사고 예방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