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韓축구, 홍명보 리더십으로 새 출발… “기강 잡고 ‘원팀’ 정신 만들 것”

입력 2024-07-08 17:15
이임생 대한축구협회 기술본부 총괄이사가 8일 서울 종로구 축구회관에서 열린 홍명보 남자 축구대표팀 선임 브리핑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뉴시스

홍명보 감독이 한국 축구대표팀에 기강을 유지하는 동시에 창의성과 ‘원팀’ 정신을 만드는 데 탁월한 적임자라고 평가했다.”

대한축구협회가 5개월의 숙고 끝에 한국 남자 축구대표팀의 지휘봉을 홍명보 감독에게 넘겼다. 홍 감독을 포함해 2명의 외국인 감독이 최종 후보군에 들었지만 리더십 등 여러 측면에서 홍 감독이 앞선다고 협회는 판단했다. 계약 기간은 2027년 1∼2월 열리는 사우디아라비아 아시안컵까지다.

이임생 기술총괄이사는 8일 서울 종로구 축구회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감독 선임 과정과 홍 감독을 선택한 이유를 밝혔다. 홍 감독은 전술, 리더십, 연령별 대표팀과 연속성, 대표팀 지도 경험과 감독으로서의 성과 등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다. 다음 경기까지 대표팀 일정이 촉박한 상황에서 외국 지도자의 철학을 입힐 시간이 부족한 점 등 협회가 처한 상황도 사유로 언급됐다.

이 이사는 감독 선임 과정에서 생긴 각종 잡음에 대해서도 입을 열었다. 내정자를 둔 채 협상 기간을 허투루 보낸 게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이 이사는 “최종 후보자 명단을 받고 정몽규 회장에게 보고했더니 ‘지금부터 모든 결정을 다 (혼자서) 하십시오’라고 말씀하셨다. 마지막 결정도 따로 보고하지 않았다”며 외압 가능성을 부인했다.

‘K리그 감독 빼가기’ 논란에 대해선 연신 고개를 숙였다. 이 이사는 “K리그 팬과 울산 팬들, 또 울산 구단에는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다”며 “소속팀 감독을 시즌 중 대표팀 감독으로 모시게 된 데에 깊은 감사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전했다.

첫발을 떼기도 전이지만 벌써 발걸음이 무겁다. 일단 위르겐 클린스만 전 감독 체제 하에 겪은 선수단 내홍 사태 등 혼란을 수습하고 팀을 하나로 모아야 한다.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월드컵 3차 예선 첫 경기까지는 두 달도 채 남지 않았다.

감독 선임을 마쳤으나 선임 절차에 이의를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다. 이 이사는 정해성 전력강화위원장이 사퇴 의사를 밝히면서 지난 2일 감독 선임 업무를 이어받았다. 새 위원장을 뽑아 절차를 이어가는 것이 가장 이상적었겠지만 적어도 이 이사가 위원장의 감독 선임 권한을 위임받는 절차는 공개적으로 이뤄졌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력강화위 위원 10명 중 정 전 위원장을 포함해 4명이나 사퇴한 데다 1명은 회의에 불참한 상황에서 감독 선임을 결정했다는 것도 뒷말이 나오게 하는 지점이다.

이 이사는 “최종 후보 중에 내가 감독을 결정해도 되는지 전력강화위 위원 5명에게 개별적으로 동의를 받았고 협회 법무팀에서 문제가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누리 기자 nur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