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버드나무 벌목‧하도 준설’ 전주시 감사 착수

입력 2024-07-04 18:11
지난 2월 전주천 일대 버드나무들이 잘린 채 밑동만 남아 있는 모습. 전주시는 지난 해 3월 홍수 예방을 이유로 전주천과 삼천의 버드나무 270그루를 기습 베어낸 뒤 이어 올해 2월 76그루를 마저 베어냈다. 전북환경운동연합 제공.

전북특별자치도 감사위원회는 전주천·삼천변 버드나무 벌목과 하도 준설 관련한 주민 감사청구가 접수돼 전주시를 감사한다고 4일 밝혔다.

전북자치도 감사위원회는 오는 8∼26일 15일간 전주시를 감사할 예정이다.

이번 감사는 지난 4월 전북환경운동연합 등 시민·사회단체가 청구한 주민 감사가 주민감사청구심의회의 심사를 통과한 데 따른 것이다.

주민 감사청구제도는 주민의 권익 보호와 행정의 불합리성을 감시하기 위해 18세 이상 주민 200명 이상 연서로 자치단체 행정의 감사를 청구하는 제도다.

당시 시민·사회단체는 주민 감사청구 신청서를 통해 “하천기본계획을 벗어난 하천 정비, 하천 관리청의 허가(보고) 없는 하천 정비사업 추진, 소규모환경영향평가 미이행 등 6가지 항목이 위법하거나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전주시는 하도 준설은 홍수 예방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이며 벌목은 버드나무가 유수 흐름을 방해해 하천 유지보수 매뉴얼에 따랐다는 입장이다.

감사위 관계자는 “양측의 주장이 상반돼 투명하고 공정한 감사를 통해 위법 및 부당행위 여부를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2016년 11월 남천교에서 바라본 전주천 모습. 양편에 버드나무들이 운치있게 서 있다. 지난 해 3월 전주시에 의해 오른편 나무들이 모두 베어진 데 이어 올해 2월 왼편에 있던 버드나무들도 모두 베어져 사라졌다.

앞서 전주시는 두 차례에 걸쳐 전주천과 삼천 주변의 20년 이상된 버드나무 330여 그루를 벌목, 큰 반발을 사고 있다.

시는 먼저 지난해 3월 260여 그루를 갑자기 잘라냈다. 하천의 통수 면적을 확보해 홍수를 예방하겠다는 이유였다.

하지만 비판이 쏟아졌다. 환경단체와 시민들은 “전주천과 삼천, 물길 가장자리에 자연적으로 뿌리를 내린 버드나무와 억새군락은 자연성을 회복한 전주천의 선물”이라며 “그러나 시는 전주생태하천협의회나 환경단체와 아무런 협의도 없이 무분별하게 벌목을 했다”고 강력 비난했다.

이에 시는 작업을 중단하고 전주생태하천협의회와 협의 후 진행하겠다고 약속했으나 올해 2월 다시 남천교 앞에 있던 버드나무 70여그루를 마저 잘라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합의는 없었다고 환경단체들은 비판하고 있다.

또 전주시는 지난 해 초부터 삼천과 전주천 11개 구간 15만 9600여㎡에서 모래톱과 퇴적토를 준설하는 재해 예방 하도 정비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과도한 준설과 벌목 작업 등으로 인해 물고기 서식 환경이 크게 훼손됐다며 제방 보축이나 낙차공과 보 같은 횡단 구조물을 철거하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