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가 3일 “정부 출범 당시 우리가 물려받은 경제를 봤을 때 우리나라가 망할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며 문재인 정부의 재정 정책을 날 세워 비판했다.
한 총리는 이날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한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 및 역동 경제 로드맵 발표’ 회의에서 “우리가 물려받은 경제는 재정을 방만하게 운영해서 적자가 전 세계가 경고하는 수준이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금리는 거의 10배, 3배씩 올랐으니 정상적으로 생각하면 경제가 운영될 수 없는 그런 상황이었다”고 평가했다.
한 총리는 또 “그 전 정부가 국내총생산(GDP)에 대한 국가 부채비율을 대폭 늘려놓았다”며 “그때 추세대로 가면 우리 정부가 끝나는 2027년엔 부채비율이 70%에 달하는 수준으로, 거의 뱅크럽시(파산) 수준에 달했다”고 비판했다.
한 총리는 현재 국내 경제 상황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우리 경제를 평가하는 기준이 되는 모든 부분이 이제는 다 정상화가 됐고 앞으로는 희망이 보인다는 것”이라며 “지금 성장률은 2.6%로 미국 다음 정도로 가고 있고 고용은 이제까지 역사 중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고 했다. 이어 “금리는 아직도 높지만 희망적으로 보면 이제 금리는 내려갈 방향밖에 없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이날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2%에서 2.6%로 상향했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과 취업자 수 증가 폭은 기존 전망과 동일하게 각각 2.6%, 23만명으로 유지했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