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이 올해 하반기 대대적인 사업 재편의 닻을 올렸지만 사내복지 혜택으로 불렸던 해피프라이데이(금요일 휴무제)나 재택근무 등은 계열사 사정에 맞게 유지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복지 후퇴’라는 인식이 커져 노사 갈등에 불이 붙을까 몸을 사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3일 재계에 따르면 당초 SK그룹 안팎에서는 지난달 28~29일 진행된 경영전략회의를 앞두고 비상경영체제에 버금가는 ‘직원 옥죄기’가 시행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이 취임 후 계열사를 돌며 사업 현황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직원들의 업무 몰입도가 전반적으로 약해졌다는 진단을 내렸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업무 성과를 끌어올리기 위해 복지 혜택처럼 자리 잡았던 각종 근무 체계에 칼을 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대표적으로 SK㈜와 SK텔레콤, SK하이닉스 등 주요 계열사에서 월 2회씩 시행해 사실상 ‘주 4일제’로 평가받아 온 해피프라이데이가 꼽혔다.
그러나 ‘노사 갈등’이 수면 위로 떠 오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근무 체계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혔다. 해피프라이데이 등의 제도는 노사 합의사항이어서 변경하려면 별도의 노사 논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직원들의 반발이 커질 수 있고, 최악의 경우 집단행동이 불거질 수 있다. 실제로 SK텔레콤 등 조합원 수가 많은 일부 계열사를 중심으로 경영전략회의 내용에 따라 파업 카드까지 고려할 것이라는 이야기도 흘러나왔다. 이에 수뇌부 안팎에서는 그룹 쇄신에 속도를 내야 하는 시기에 노사 갈등 해소에 역량을 낭비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고 한다.
일부에선 SK그룹 임원들과 일반 직원들 간 형평성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다수 임원은 ‘주 6일제’, 연봉 동결 등을 통보받았고, 구조조정설까지 일고 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