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환경공단은 송도·청라자원순환센터의 안전성 등을 알리기 위한 시민 환경교육을 확대한다고 2일 밝혔다.
인천시와 공단은 2026년 수도권 지역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따른 자원순환센터 필요성에도 혐오‧기피시설이라는 부정적 인식이 자리잡고 있어 시민 환경교육을 확대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이를 위해 지역주민이 직접 시설을 안내하는 시민 환경해설사 40명을 양성했다. 환경해설사는 지난해 10월부터 약 4개월(60시간)의 교육과정을 이수했고 직접 시설을 모니터링하며 주민 입장에서 시설을 알리는 역할을 맡는다.
시민들이 알기 쉽게 시설을 안내받을 수 있도록 자원순환센터의 역할과 필요성 등을 알리는 홍보 안내판을 설치하고 견학로도 완성했다. 시설 입장 시 보여지는 절벽 트릭아트와 분리배출 체험 공간 또한 마련했다.
공단은 앞으로 시민 환경교육 확대를 위해 연 4만5000명의 시민들의 시설 방문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이달을 환경교육 붐업 기간으로 정하고 어린이, 장애인, 노인, 학생 등 매주 대상별 맞춤형 운영 계획을 수립해 4000여명의 시설 방문 예약도 받았다.
최계운 공단 이사장은 “지난해부터 주민들에게 시설의 필요성과 안전성에 대해 알리기 위해 해설사 양성 등 꼼꼼히 준비해 왔다”며 “환경기초시설이 기피시설이 아닌 시민들에게 친숙하고 필요한 시설로 인식될 수 있도록 준비한 여러 프로그램에 시민들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