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민단체 또 대북전단 30만장 살포…김여정 “일거리 생길 것”

입력 2024-06-21 15:38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21일 전날 탈북단체가 대북을 전단 살포한 것에 대해 "분명하지 말라고 한 일을 또 벌렸으니 하지 않아도 될 일거리가 생기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사실상 오물풍선 살포 재개를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사진은 지난 9일 충북 영동군 황간면 야산의 나무에 북한이 살포한 오물풍선이 매달려 있는 모습. 연합뉴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21일 한국 민간단체가 전날 대북전단을 살포한 데 대해 “분명 하지 말라고 한 일을 또 벌렸으니 하지 않아도 될 일거리가 생기는 것은 당연하다”고 밝혔다. 북한이 지난달 28일 대북 전단을 문제 삼으며 감행했던 ‘오물풍선 살포’를 재개할 수 있다는 경고로 해석된다.

김 부부장은 이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공개한 담화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국경부근에는 또다시 더러운 휴지장과 물건짝들이 널려졌다”며 “국경부근의 논과 저수지기슭, 과수밭에서 더러운 물건짝들이 발견된 것”이라고 밝혔다.

김 부부장은 “추가로 발견될 가능성도 있다”며 “보도를 통하여 혐오스러운 탈북자 쓰레기들은 삐라를 우리 국경너머에로 날려보낸 데 대하여 숨기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탈북민단체 자유북한운동연합은 전날 밤 경기도 파주에서 북쪽으로 대북전단 30만장과 한국 드라마∙트로트 등 동영상을 저장한 이동식저장장치(USB) 5000개, 1달러 지폐 3000장을 20개의 대형 풍선으로 띄워 보냈다고 밝혔다.

북한은 지난달 28일 대북 전단 살포를 문제 삼으며 담배꽁초, 퇴비 등이 담긴 ‘오물풍선’을 날 맞대응한 바 있다. 오물풍선 살포는 9일까지 4차례나 이어졌다. 전국에서 발견된 풍선은 1000여개에 달했다.

이에 맞서 우리 정부도 북한 오물풍선에 대한 대응으로 9·19 남북군사합의를 전부 효력 정지하고 접경지역에서 대북 확성기 방송을 6년 만에 재개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오물풍선 살포를 통해 탈북단체와 접경지역 주민들 간의 ‘남남갈등’을 노리고 있다고 분석한다. 실제로 김 부부장은 담화에서 탈북단체를 직접 언급하며 “자국민들로부터 비난을 받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