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증시, MSCI 선진지수 편입 불발…‘공매도 금지’ 지목

입력 2024-06-21 10:47
국민일보DB

한국 증시의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DM) 지수 편입이 불발됐다.

MSCI는 20일(현지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2024년 연례 시장 분류 결과를 발표했다. 현재 신흥국(EM)에 속하는 한국 지수 관련 변경 사항은 없었다.

MSCI는 매년 전 세계 주요 증시를 선진시장, 신흥시장, 프론티어시장, 독립시장으로 분류한다. 이러한 분류 기준은 글로벌 기관투자자들의 투자 자금 규모 결정에 활용돼 국가 자본 흐름에 영향을 끼친다.

MSCI는 “해외 투자자들을 위한 한국 주식시장의 접근성을 개선하려는 조치의 이행을 지속해서 점검하는 한편 최근 공매도 금지 조치로 인해 시장 접근성이 제한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 11월 시행한 공매도 전면 금지 조치는 일시적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시장 규칙의 갑작스러운 변경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잠재적인 재분류를 위해서는 모든 이슈가 해결되고 개선 조치가 완전히 이행돼야 하며 시장 참여자들이 변경 사항의 효과를 철저히 평가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MSCI의 선진국 지수에 편입되려면 지수 편입 후보군인 관찰대상국(워치리스트)에 1년 이상 올라야 한다. 이번 발표에 따라 한국 증시의 선진국 지수 편입 도전은 내년 6월로 넘어갔다. 내년 6월 후보군에 들어가면 2026년 6월에 지수 편입이 정식 발표되고 2027년 6월에 실제 편입이 이뤄진다.

MSCI는 한국 정부가 그동안 선진국 편입을 위해 추진해 온 외환시장 자유화 수준, 영문 공시, 배당절차 개선 등에 대해 “진전이 있으나 본격적으로 시행된 이후 철저히 평가하겠다”고 밝혔다. 배당과 관련해서는 “국제 기준과 달리 대부분의 한국 기업은 배당락 이후에야 배당금액을 공시한다”며 “배당절차 개선 방안이 시행됐으나 아직 소수의 기업만 개선된 배당절차를 따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MSCI가 이달 초 발표한 시장 접근성 평가에서 한국 증시는 지난해 대비 ‘공매도’ 관련 항목에서 ‘마이너스’(개선 필요) 평가를 추가로 받으면서 18개 항목 중 7개 항목에서 마이너스를 받았다. 공매도 관련 항목을 플러스에서 마이너스로 바꾸면서 악화 요인으로 지난해 11월 시행된 공매도 전면 금지 조치를 언급했다. 지난해에는 6개 항목에서 마이너스를 받았다.

장은현 기자 e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