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경북 영천 돼지농장에서 발생(지난 15일)한데 이어 대구 군위군 야생 멧돼지에게서도 ASF가 검출(지난 19일)됨에 따라 양돈 농가 질병 유입 차단을 위해 긴급방역에 나서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ASF는 돼지에서 감염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병원성에 따라 유병률과 치사율이 달라지기는 하지만 급성형의 경우 치사율이 100%에 달하는 제1종 법정가축전염병이다.
지난 2019년 9월 17일 국내에서 최초 발생한 이후 현재까지 가축질병 위기단계 ‘심각’ 상태를 유지 중다. 이에 시에서도 가축질병방역대책 본부를 구성해 운영 중에 있다. 대구 돼지사육 현황은 50호 11만2000두이며 군위군이 43호 10만4000두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군위 야생 멧돼지 ASF 검출에 따라 인근 지역 돼지농장 12곳에 대한 방역대를 설정했으며 방역대 내 농가에 대해 가축·차량에 대한 이동통제·소독 실시와 함께 사육 중인 돼지에 대한 정밀, 임상검사를 추진했다.
안중곤 대구시 경제국장은 “ASF는 축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키는 전염병”이라며 “울타리 정비와 소독 실시 등 철저한 차단방역으로 농장 내 바이러스 유입 방지에 최선을 다하고 폐사축 발생 등 의심증상 발생 시 즉시 신고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