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가 봉암·중리공단 등 지역의 18개 공업지역에 대한 계획적·체계적 관리체계 구축에 나선다.
창원시는 지역 대표 공업지역인 봉암·중리공단 등의 산업혁신과 융복합 촉진을 위해 공업지역기본계획을 수립한다고 20일 밝혔다.
공업지역기본계획은 기존 ‘국토계획법’에 의한 용도지역 차원의 관리에서 벗어나 공업지역을 산업지원, 공간정비 방안 등을 포함해 지역 특성에 맞게 체계적·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계획이다.
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영등포구청, 서울연구원 방문과 문래동·G-Valley 현장을 답사하고 봉암·내서 기업인협의회 간담회를 통해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지난해 10월 관련 용역을 착수한 후 ‘산업혁신 전문가’를 구성하고, 11월 ‘2023 창원 산업혁신 포럼’을 개최해 업계 전문가 의견을 청취했으며 올해는 산업혁신 민간전문가 자문을 마쳤다.
시는 이달 중으로 봉암·중리공단 고도화 방안을 포함해 지역 공업지역에 대한 유형별 관리방향과 고도화 방안을 수립하고, 향후 공청회, 의회 의견 청취,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올해 연말까지 공업지역별 맞춤형 기본계획을 확정·공고할 계획이다.
이상인 창원시 도시개발사업소장은 “공업지역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계획적·체계적 관리체계를 구축해 봉암·중리공단 등 공업지역의 산업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산업과 주거·상업·문화가 융복합된 산업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