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민들은 ‘전동킥보드’와 오토바이를 가장 위험한 교통수단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속히 근절해야 할 범죄로는 학교폭력과 성폭력, 아동학대 등을 꼽았다.
광주자치경찰위원회가 최근 맞춤형 치안정책 수립을 위해 실시한 ‘광주자치경찰 인식도 및 정책수요 여론조사’ 결과다.
18일 위원회에 따르면 자치경찰 인식도, 교통·생활안전 분야, 사회적약자 보호 등 4개 분야 개선방안을 찾기 위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광주시민 10명 중 4명 꼴인 41.1%는 자치경찰위원회가 무슨 일을 하는 기관인지 알고 있다고 답변했다.
연령대별로 60대 이상이 56.5%로 20‧30대(31%)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
광주지역 교통체감안전 지수는 55.25점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동구가 57.43점으로 다른 지역보다 높았다.
시민들은 교통에 위협적 교통수단으로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37%)를 꼽았다. 오토바이(이륜차) 31.1%, 화물트럭 14.9%, 택시 7.5%가 뒤를 이었다.
교통안전 확보를 위해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는 도로 구조 등 교통환경 개선(40.8%)에 이어 경찰단속 강화(25.9%)라고 답변했다.
거주지역 생활안전도는 58.48점으로 파악됐다. 거주 지역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9.4%로 2021년 1차 조사(14.1%) 때보다 줄었다. 생활안전에 대한 시민들의 긍정적 변화를 확인했다.
광주시민 10명 중 6명에 해당하는 59.9%는 범죄예방을 위해 경찰 순찰 활동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응답했다.
사회적약자 보호를 위해 시급히 뿌리뽑아야 할 범죄를 묻는 설문에는 학교폭력 등 청소년 범죄(60.4%)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어 성폭력 등 성범죄와 아동학대를 서둘러 근절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앞으로 강화해야 할 치안활동으로는 피해자 보호와 지원(61.2%), 가해자 재범 방지 대책 마련 순으로 답했다.
이번 조사는 만 18세 이상 광주시민 1000여명을 대상으로 4월 22일부터 26일까지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했다. 신뢰수준은 95%, 표준오차는 ±4.4%p이다.
안진 광주자치경찰위원장은 “지역 맞춤형 치안정책은 시민 의견수렴이 전제되고 반영돼야 한다”이라며 “시민들이 향후 일상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치안정책을 적극 발굴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