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인공지능(AI) 기술 등을 활용해 시내버스 운전사의 음주 운전 원천 차단에 나선다.
부산시는 버스 승객의 안전과 생명을 위협하는 버스 운수종사자의 음주 운행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AI 안면인식 음주측정기 도입’을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시내버스에 AI 음주측정기가 도입되는 사례는 부산이 처음이다.
이번 대책은 최근 부산의 한 시내버스 소속 운전사가 음주 운행을 하던 중 승객의 제보로 경찰에 적발된 후 재발 방지를 위해 마련됐다.
새로 도입할 AI 안면인식 음주측정기는 운전자의 얼굴을 인식해 본인을 확인한다. 여기에 운전기사는 지문인식기로 신원을 확인한 뒤 음주측정기에 숨을 내뱉어야만 운행이 가능해진다. 지문은 음주 운전자가 찍고, 음주 측정을 다른 사람이 대신할 수 있는 빈틈을 원천 차단하게 된다. 특히 이 모습은 동영상으로 녹화되고 컴퓨터 서버에 관리된다.
시는 음주 여부 판단 기준인 0.02%를 초과하는 수치가 음주측정기에 기록되면 곧바로 관리자에게 알림 문자를 보내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이와 함께 시가 마련한 ‘시내버스 운수종사자의 음주 운행 근절 대책’을 보면 시와 버스조합 합동으로 진행하는 정기 점검, 행정처분 강화, 음주측정기 센서 정기구독 등이다. 운수사 대표 대책 회의와 운수종사자 교육도 지속해서 진행한다.
차량 제작사와 협의해 차량 자체에 운전사 본인 확인, 음주 측정 기능을 탑재시켜 음주 상태를 확인해야만 시동이 걸리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또 음주 기준을 0.01%로 강화하고 이를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에 명시하도록 법령 개정을 건의할 계획이다.
이봉걸 부산시 버스운영과장은 “버스 음주 운행은 시민의 안전과 직결된 사항으로 결코 용인할 수 없는 부조리”라며 “최신 기술을 활용해 관리 사각을 없애고 공공 관리·감독도 강화하는 한편 사고 발생 시 무관용 원칙으로 최대 수위 처벌 등 음주 운행을 뿌리 뽑겠다”고 말했다.
시는 14일 버스운송사업조합 회의실에서 부산지역 운수사 대표자를 모아 대책 회의를 열고, ‘음주 운행 근절 대책’을 발표한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