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극복을 위해 ‘내적동기’를 보듬을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급속한 고령사회를 대비해 노년층의 사회참여를 촉진시키고 노후소득을 보장하는 등 노후준비 서비스 강화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이어졌다.
한정애 국회의원(서울 강서구병)과 강석주 서울특별시의원(서울 강서구 제2선거구)이 공동주최한 ‘저출산‧고령사회 극복을 위한 심포지엄’이 10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됐다.
한 의원은 개회사에서 “이번 심포지엄은 저출산‧고령화 현상과 정책을 살펴보고 각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며 “오늘 나온 의견을 바탕으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법안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강석주 서울시의원은 “각 분야 전문가들의 저출산과 고령사회에 대한 의견과 제안을 공유하는 유익한 시간이 되길 바란다”며 “서울시 또한 기본 지원 정책을 강화하고 구조적 대응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겠다”고 전했다.
기조 강연에 나선 신의진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민간위원은 “이제는 ‘내적 동기’를 보듬는 정책과 해결책을 생각해야할 시기”라며 “불안·우울·외로움이 높을수록 출산의향이 낮아지는 현상을 볼때, 미래세대 마음건강을 지키는 새로운 정책을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 사례로 서울아이발달지원센터와 대구교육청 프로젝트, 경상북도 비인지역량강화센터가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소개하며 ‘지역사회 중심 미래세대 마음성장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했다.
두 번째 강연자로 나선 박경하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정책연구센터장은 “노인들의 늘어나는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예방적 건강관리와 맞춤형 사회돌봄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노년기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선 사회참여 촉진, 노후소득보장 등 노후준비 서비스 강화에 나서야 한다”며 고령사회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이어진 종합토론에는 정순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를 좌장으로 신의진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민간위원, 신현영 전 국회의원, 이삼식 인구보건복지협회 회장, 조용남 한국보육진흥원 육아종합지원본부장, 고광본 서울경제신문 논설위원이 참석해 토론을 이어갔다.
이은철 기자 dldms878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