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토르 아브레우 액트지오 고문은 윤석열 대통령이 영일만 석유 매장 가능성을 직접 발표한 것에 대해 “해외에서도 흔한 경우”라는 설명을 내놨다. 야권을 중심으로 “성급하다”는 비판이 나오자 정부를 대신해 반박한 것이다.
아브레우 고문은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해외에서도 ‘시추 성공’이 아닌 ‘매장 가능성’만으로도 대통령이 직접 발표하는 경우가 있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이례적인 일은 아니다”라며 운을 뗐다.
그는 “가끔은 공기업이 발표하는 경우도 있지만 장관이나 대통령이 발표하는 경우도 흔하다”며 시추 계획을 직접 공개한 미국 전 대통령들의 사례를 들었다.
아브레우 고문은 “버락 오바마도 이스트코스트 지역 탐사 발표를 직접 했고, 도널드 트럼프도 극지방 탐사를 발표했다”며 “조지 부시 전 대통령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후 첫 국정 브리핑 자리에서 “경북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며 “이는 1990년대 후반 발견된 동해 가스전의 300배가 넘는 규모고 우리나라 전체가 천연가스는 최대 29년, 석유는 최대 4년을 쓸 수 있는 양”이라고 직접 밝혔다.
이를 두고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는 “대한민국에 대한 책임감이라곤 있을 리 없는 미국 1인 사기업 보고서를 믿고 대통령이 직접 발표했다”며 맹비난했다. 영일만 앞바다 유전의 매장량과 경제성을 확신할 수 없는 상황에서 대통령이 직접 발표에 나서는 바람에 추후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정부 부처 입장에서 계획을 쉽게 변경하거나 철수하기가 어려워졌다는 지적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역시 “막판 대역전 외치며 수천억 쏟아붓고 결국 국민 절망시킨 부산 엑스포가 자꾸 떠오른다”며 탐사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의심했다.
정부는 가스·석유 매장 가능성을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 5차례 탐사 시추에 나설 계획이다.
천양우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