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정부 지원금, 가계별 소득 격차 좁혔다

입력 2024-06-05 17:33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우리나라의 가계별 소득 격차가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지원금 등 ‘이전소득’이 증가하면서 저소득 가구의 소득 점유율이 늘어난 영향이다.

한국은행은 5일 ‘가계분배계정’ 자료를 공개하고 코로나19 사태 발생 직전인 2019년 대비 2020~2022년 가계 소득분위 간 소득 격차가 축소했다고 밝혔다. 중·저소득 가계인 1~3분위의 소득 점유율은 증가했지만 고소득 구간인 4~5분위는 하락하면서다.

소득 수준이 가장 높은 5분위(상위 20%)의 총본원소득(GNI) 점유율은 2019년 44.5%에서 2022년 42.8%로 떨어졌다. 4분위는 23.8%에서 22.7%로 줄었다. 반면 가장 소득 수준이 낮은 1분위는 5.3%에서 6.8%로 늘었고, 2분위도 10.4%에서 11.7%까지 올랐다. 3분기는 2020~2021년 소폭 감소하더니 2022년에는 2019년과 같은 16.0%를 기록했다.

총처분가능소득(GNDI) 역시 비슷한 흐름을 보인다. GNDI는 정부지원금 등 사회수혜금을 더하고 각종 세금을 뺀 소득으로 가계 구매력을 가늠해볼 수 있는 소득 지표다. 5분위의 GNDI 점유율은 2019년 40.3%에서 2022년 38.0%로 하락했다. 같은 기간 1분위의 점유율이 6.5%에서 7.6%로, 2분위가 12.3%에서 13.5%로 늘어난 것과는 대조적이다.

한은은 이를 ‘이전효과’로 분석했다. 공적·사적 보조금 등 비경제적 활동으로 얻은 수입인 이전소득이 가계 소득분위 간 소득 격차를 축소했다는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1~2분위 가계는 정부로부터 사회수혜금을 받으며 GNDI 점유율이 상승했지만 5분위는 소득세 납부 등으로 하락했다”고 밝혔다. 다만 “이는 가구 단위를 합산한 결과이므로 개인 간 후생 비교나 불평등 지표로 활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같은 기간 가계의 소득분위별 소비 점유율 격차도 줄었다. 1~2분위는 상승 추세를, 5분위는 하락 추세를 보였다. 한은은 2020년부터 5분위 가계가 여행·스포츠·문화 등 비필수재 소비를 크게 줄인 영향이라고 밝혔다.

김준희 기자 zuni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