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천안·아산·서산·당진 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

입력 2024-06-05 11:25
충남도청사. 충남도 제공

충남도가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속도를 내고 있다.

5일 도에 따르면 이달 중 천안, 아산 등 5개 지구 15.14㎢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는 안건을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지난달 정부 컨설팅을 거쳐 행정 절차 이행을 위한 용역을 발주했고, 오는 18일까지 주민 의견수렴 절차를 마칠 방침이다.

충남경제자유구역은 도정 핵심 과제인 ‘베이밸리’ 건설 사업 중 하나다. 국내외 글로벌 기업을 유치해 미래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추진 중이다.

지난해 타당성 조사와 개발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거쳐 선정된 대상지는 천안 수신, 아산 인주·둔포, 서산 지곡, 당진 송산 등 5개 지구다.

천안 수신지구(1.59㎢)는 광역 교통 연계가 우수하고, 한국자동차연구원이 인접해 신기술 개발이 용이한 점을 감안해 미래모빌리티 산업지로 선정됐다.

아산 인주지구(5.71㎢)에는 디스플레이가, 둔포지구(4.09㎢)는 AI·반도체가 중점 산업으로 들어설 전망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집적지에 인접하고, 천안 국가산업단지·아산 테크노밸리 등과 연접해 있는 점을 고려했다.

서산 지곡지구(1.84㎢)는 2차전지 소재·부품과 자동차 부품산업 집적지인 점 등이 감안됐다. 당진 송산지구(1.91㎢)는 현대제철과 인접해 수소산업 육성에 유리한 입지 여건을 고려해 수소융복합 산업지로 제시됐다.

도는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2023년부터 8년간 3조4575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또 2026년 1월 경제자유구역청을 출범시킬 계획이다.

고효열 도 균형발전국장은 “충남경제자유구역은 탁월한 입지 여건에 따라 국내외 우수 기업을 끌어들이며 대한민국 미래 산업을 이끄는 중심 축으로 발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자유구역은 산업·상업·주거·관광이 포함된 복합 개발 지역으로, 11개 시·도 98개 지구가 지정돼 있다. 충남은 2008년 황해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됐지만 투자 유치 어려움 등으로 2014년 해제됐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개발 사업 시행자는 법인세, 소득세, 재산세 등 조세를 감면받고, 개발부담금과 농지보전부담금 등 각종 부담금과 조성비를 감면받거나 면제받는다.

홍성=김성준 기자 ks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