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의료 컨시어지 기업 룰루메딕이 지잔 30일 한국 산업통상자원부와 미국 상무부가 공동 주관한 한·미원격의료 온라인 쇼케이스 행사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양국 디지털 헬스 및 원격 의료 산업에 대한 상호이해 증진과 협력 방안 모색을 위해 추진하는 '한·미 공급망-산업대화'(SCCD)의 민간 교류 행사이다.
룰루메딕은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의 추천을 받아 한국 측 대표 기업 및 연사로 참가하였다. 미국 원격의료 1위 업체인 텔라닥(Teladoc), 글로벌 제약회사 박스터(Baxter), 미국 디지털 헬스 협회 등도 발표자로 참석하였고, 양국소재 헬스케어 및 유관 기업 30여 개사도 온라인 참관하였다.
본행사에서 룰루메딕은 글로벌 의료 소비자를 한국 의료기관에 온라인 및 직접 방한 형태로 연결해주는 외국인 환자 유치 사업을 실제 사례와 함께 소개하였다. 자체 구축한 국내외 병원 및 보험사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해외 국적 환자들이 한국의 선도적인 의료 기술력 및 가격 경쟁력을 경험할 수 있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비대면 진료를 통해 국내 상급종합병원 의료진의 이차소견을 받은 20대 러시아 여성 갑상샘암 환자와 50대 러시아 남성 직장암 환자 등을 실제 사례로 들며 발표하였다. 또한, 현재 러시아, 일본 등 다국적 외국인 환자를 국내 의료기관에 유치하고 있음을 밝히며, 향후 미국 의료 소비자들 또한 국내 의료진에 적극적으로 중개하고자 하는 의지를 내비쳤다.
룰루메딕은 미국 의료정보보호 기준을 모두 충족할 수 있으며 높은 보안 강도를 필요로 하는 국내 ISMS-P 인증을 기획득한 상태임을 밝혔다. 이를 통해, 국경을 넘나드는 원격의료과정상 발생하는 개인 민감정보의 국외 전송 및 전입에 대한 통제 역량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미국 소비자들의 한국 원격의료 등을 거뜬히 지원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였다.
특히, 룰루메딕에게는 한국의 원격의료 관련 허용 범위나 베트남 등 자체 해외 진출 사례에 대한 심도 있는 질문도 이어졌으며, 이에 대하여 국제 보험사와의 연계와 국내 의료 생태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답변하였다.
룰루메딕 우성한 대표는 "이번 '한·미 원격의료 쇼케이스'는 가히 의료 선도국으로 불릴 만큼 자랑스러운 K-의료진의 기술력을 미국 시장에 널리 알릴 감사한 기회였다"라며 소회를 전했다. 또한, “로봇 수술 사례, 경쟁력 있는 의료 비용 및 역량을 미국에 소개하여, K-Medical 수출의 디딤돌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사진=룰루메딕)
김지훈 기자 da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