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경기북부 지역 경제를 활성화해서 청년들에게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주고, 투자 유치를 하고, 어르신과 아이들에게 좋은 의료시설과 교육환경을 제공하고, 자산 가치를 올려주고 싶은 꿈을 이루기 위해서 경기북부특별자치도를 만들려고 한다”고 말했다.
김동연 지사는 지난 29일 밤 9시30분부터 30일 새벽 12시30분까지 180분에 걸쳐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와 관련 인스타그램 라이브방송을 통해 “경제부총리까지 했던 제가 보기에 경기북부는 인적 자원과 잘 보존된 환경, 생태 등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잘 알아주지 않는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김 지사는 ‘경기북부가 많이 낙후돼 있으니, 발전을 시킨 다음에 특별자치도를 추진하자’는 주장에 대해서는 “지금과 같은 상태로 쭉 간다면 경기북부는 영원히 낙후된다. 불균형은 심해질 것이고, 상황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며 “엄청난 중복 규제가 풀리지 않아서 투자 유치가 되지 않는다. 판을 바꿀 수 있는 게임 체인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경기북부특별자치도는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김 지사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새 이름 공모전을 통해 대상을 받은 ‘평화누리특별자치도’와 관련해서는 “확정된 것이 아니다”고 분명하게 선을 그으며 “명칭은 국회에서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를 위한) 특별법을 제정할 때 정해진다. 공모를 통해서 선정된 이름이 확정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어 “공모전은 (경기북부특별자치도에 대해) 많은 분의 주의와 관심을 끌려는 목적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댓글 창을 통해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에 대한 반대 의견이 많이 올라오자, “도민 5000명을 대상으로 객관적인 설문조사를 했다. 찬성이 55%였고, 반대가 21%였다”면서 “찬성이 반대보다 2배 이상 높았고, 특히 북부는 찬성 65% 반대 16%, 남부는 찬성 51%, 반대 23%로 나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주민들이 원하는 대로 하는 것이 경기도지사로서 가야 할 길”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경기도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새 이름 공모전을 진행해 지난 1일 ‘평화누리특별자치도’를 대상으로 발표한 바 있다.
같은 날 경기도민 청원 홈페이지에 ‘평화누리자치도(경기북도 분도)를 반대합니다’라는 제목의 반대 청원이 올라와 28일 오후 기준 4만 7,000여 건의 동의를 얻었다.
경기도민 청원은 30일간 의견을 수렴해 1만 명 이상의 동의를 얻을 경우 누리집 답글 게재, 동영상 게시, 현장 방문 등의 방식으로 도지사가 답변해야 한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이날 “내일모레(31일) 반대 청원에 대한 공식적인 답을 드리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