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기술로 백두대간·정맥 관리한다

입력 2024-05-28 17:26
국립산림과학원 관계자들이 전북 장수 무룡고개에서 토지피복 예측기반 현장토론회를 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앞으로 빅데이터 기술을 통해 백두대간·정맥 등을 보다 과학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28일 전북 장수군 금남호남정맥 무룡고개에서 ‘토지피복 변화 예측 기반의 정맥 관리 방안 마련 현장토론회’를 개최했다.

백두대간에서 분기한 정맥은 2020년 개념이 법제화됐지만 대부분이 사유지여서 체계적인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인공지능(AI) 딥러닝을 통해 인구밀도와 지형, 훼손지 분포를 반영하는 등 산림면적 및 미래 토지피복의 변화를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금남호남정맥 및 호남정맥에 적용한 결과 10년 후에는 해당 지역의 산림이 0.2%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정맥 주변 마을은 인구감소로 농경지·초지 일부가 산림으로 바뀌고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은 도시 면적이 0.02%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신기술이 기존 토지피복 예측 기술보다 약 20% 성능이 개선된 만큼 국립산림과학원은 보다 효과적인 정맥 관리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양희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장은 “백두대간과 정맥은 생태·역사·문화 등 다양한 가치를 갖춘 곳으로 반드시 보전해야 하는 지역”이라며 “인문·사회·경제 여건을 고려해 관리 방향을 수립하고 보다 과학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산림청은 금남호남정맥과 한북정맥 등 남한 9개 정맥에 대한 자원실태변화조사와 정맥 생태축 복원을 추진 중이다. 현재 도로 개설 등으로 단절된 정맥 10곳을 연결·복원하고 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