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에 국내 최대 규모 양자팹 구축된다

입력 2024-05-27 15:05
KAIST 대전 본원에 건립될 첨단 양자팹 조감도. KAIST 제공

2031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국내 최대 규모의 양자팹이 구축될 전망이다.

KAIS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 구축 사업’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앞으로 KAIST는 첨단 양자팹을 건립하고 양자 인프라 관련 시설·장비를 구축하게 된다. 나노종합기술원과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공동기관으로 참여하며 SK텔레콤·대전테크노파크가 위탁기관으로 선정됐다.

그동안 대규모 팹을 안정적으로 운영해 온 KAIST는 나노종합기술원과 함께 양자팹을 공동으로 운영하면서 공정의 전문성·사업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양자기술 선도 기관인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는 다양한 플랫폼에 대한 핵심 공정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SK텔레콤과는 양자 광집적회로 모듈 개발을 추진한다. 대전테크노파크는 중소기업의 양자팹 활용 및 창업 활동을 돕게 되며 대전시는 양자팹 건립을 위해 200억원의 지방비를 투자한다.

신규 양자팹은 KAIST 미래융합소자동과 나노종합기술원 사이 1500㎡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다.

KAIST는 대전 본원 미래융합소자동에 보유 중인 클린룸과 장비들을 활용해 내년부터 1차 운영에 돌입할 계획이다. 양자팹 건축과 신규 장비 설치가 완료되는 5차년도부터는 양자팹을 전면 개방한다.

양자팹은 향후 정부출연연과 대학, 국내·외 기업, 해외 기관 등이 공동 연구할 수 있는 연구 허브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면 양자분야 소재·부품을 개발할 수 있는 인프라가 구축되고 국내 양자과학 기술의 경쟁력 강화, 신산업 창출 등의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양자과학기술은 미래 기술 패권을 좌우할 핵심 전략기술 분야로 경제는 물론 안보에 이르기까지 파급 효과가 매우 크다”며 “양자과학기술 생태계 구축에 필요한 핵심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호종 대전시 경제과학부시장은 “대전은 양자산업 육성을 위한 전국 최고의 인프라를 보유한 도시”라며 “앞으로 인프라 확충과 인력양성, 국내외 양자기업 유치 등을 통해 세계적인 양자 중심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