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는 정부가 유통업체 자체브랜드(PB) 상품을 규제하려는 움직임이 있다고 주장하며 “시대착오적인 정책 판단을 하지 않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24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제 2의 ‘직구 사태’되나…PB규제 초읽기”라는 제목의 기사를 공유하며 “해외 직구를 규제하려다 철회한 정부가 이번에는 PB상품을 규제하는 방향으로 일을 벌이려 한다”는 글을 게시했다.
그는 “물가 인상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많은 상황에서 물가 억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직구나 PB를 건드리는 것을 보면 정책의 방향성을 누가 설정하는지 궁금하다”고 비판했다.
이어 “당장 소비자는 몇백원이라도 싼 제품을 찾아 가격을 비교하는 상황”이라며 “시대착오적인 정책적 판단을 하지 않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대통령께서도 이 사안을 모르셨다면 제대로 보고 받고 물가관리에 허점이 생기지 않도록 해달라”며 글을 마쳤다.
PB상품은 마케팅과 유통 비용을 줄여 시중 상품보다 20~30 퍼센트 저렴하다. 쿠팡 탐사, 이마트 노브랜드, GS25 유어스 등이 대표적이다.
최근 공정거래위원회는 쿠팡이 알고리즘을 조작해 PB상품을 부당하게 검색창 상단에 노출했다고 판단해 오는 29일과 내달 5일 전원회의를 열어 제재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쿠팡은 “상품 진열은 유통업체의 고유 권한이자 본질로, 공정위 규제는 세계 최초”라며 “(공정위는) PB상품뿐 아니라 애플 아이폰이나 삼성 갤럭시 신제품도 상단 진열을 ‘알고리즘 조작’이라고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쿠팡은 “PB 상품 우대로 발생한 피해는 없다”며 “오히려 고물가에도 장바구니 물가를 낮추는 데 기여했다”고 주장했다.
유통업계에선 공정위의 이번 결정이 PB상품 시장을 위축시켜 ‘제2의 직구 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김민경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