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부산물 파쇄 8배 늘리자 불법소각 산불피해 줄었다

입력 2024-05-23 16:13

산림청이 영농부산물 파쇄 비율을 늘리자 올 봄 소각산불 발생률이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은 영농부산물을 지난해 대비 8배 이상 파쇄해 최근 10년 평균 116건(28%)이었던 소각산불을 39건(22%)까지 줄였다고 23일 밝혔다.

산불의 주요원인 중 하나인 소각산불은 피해규모도 크지만 발화자가 직접 불을 끄다가 인명피해로 이어질 위험성이 높다.

실제로 최근 5년 간 소각산불 발화자가 직접 불을 끄다 4명이 숨지고 11명이 부상을 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산림청은 영농부산물 불법소각 등에 따른 피해를 줄이기 위해 지난 2월 행정안전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농촌진흥청 등과 협의회를 구성하고 대응에 나섰다.

이를 통해 농식품부는 파쇄기 662대를 보급하고, 산림청은 파쇄작업에 산불인력 1만여명을 지원했다. 농진청도 139개 시·군에서 파쇄팀을 운영하고 있다.

산림청은 향후 마을회관을 순회하며 영농부산물 파쇄시연, 불법소각 근절 계도 활동을 실시하는 한편 불법소각 과태료를 상향하는 등 관련 법령을 개정할 계획이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범부처 협업을 통한 영농부산물 파쇄·수거 확대로 불법소각에 따른 산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며 “가을철 산불예방을 위해 기관별 협력체계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