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전철서도 11월부터 기후동행카드 혜택 전망

입력 2024-05-23 09:35
기후동행카드 이용이 가능한 서울 노선 버스.

경기 고양시에서 전철을 이용해 서울을 오가는 시민들이 올해 기후동행카드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고양시는 시민 대중교통비 등을 독자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대중교통 이용편의 증진 조례’ 제정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시가 추진하는 대중교통 이용편의 증진 조례는 대중교통비, 시내·마을버스 세차 시설, 운수종사자 휴게시설 등을 시 자체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조례로 시민 교통편의를 한 단계 발돋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조례가 6월 시의회에서 안건 심사를 받으면 7월 중 공포된다. 이를 근거로 10월 중 추가경정예산으로 기후동행카드 사업비를 편성해 고양시민도 이르면 11월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기후동행카드 사업이 시행되면 지역 내 지하철 3호선 10개 역사(대화~삼송), 경의·중앙선 10개 역사(탄현~한국항공대), 서해선 6개 역사(일산~능곡) 등 총 26개 역사에서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시는 지난 3월 25일 이동환 고양시장과 오세훈 서울시장의 업무 협약 체결 이후, 기후동행카드 사업 참여를 진행해왔다. 이를 통해 현재 고양시를 경유하는 서울 시내버스 약 20개 노선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

기후동행카드는 월 일반권 6만5000원, 청년권(19~39세) 5만8000원의 정기권으로 서울시 버스, 지하철, 따릉이를 무제한으로 이용 가능한 교통카드다. 현재 서울시에서 시범운영 중이다.

이번 조례로 버스 세차시설, 운수종사자 휴게시설 개선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버스 내·외부 청결 유지, 운수종사자의 편안한 휴식 시간 확보는 시민의 교통편의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어 시에서도 투자를 계속하고 있는 부분이다.

시 관계자는 “기후동행카드와 K-패스를 비교 선택해 교통비를 최대한 절감할 수 있도록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하겠다”면서 “대중 교통시설 확충으로 운수종사자 근무 여건이 개선되면, 운수종사자 부족 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돼 운행률을 비롯한 전반적인 시내·마을버스 서비스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