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김호중씨의 ‘음주 운전 뺑소니’ 관련 소식이 연일 매스컴을 뒤덮고 있다. 아울러 끊이지 않는 음주 운전 사고에 대한 근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음주 운전 재범률이 높다는 사실을 근거로, 처벌 강화는 물론 의학적 관점에서 알코올 치료 또한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실제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음주 운전 재범률은 2018년 51.2%, 2019년 43.7%, 2020년 45.4%, 2021년 44.5%, 2022년 42.2%로 상당히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10명 가운데 4명 이상이 다시 술을 마시고 운전대를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보건복지부 지정 알코올질환 전문 다사랑중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허성태 원장은 21일 “최초 단속에 적발되지 않았거나 별다른 사고 없이 음주 운전을 해 본 경험이 쌓이면 음주 운전을 일삼을 가능성이 커진다”면서 “술의 양을 줄이거나 조절하려고 노력했지만, 번번이 실패하고 끊지 못하는 음주로 사회적인 기능 저하를 유발하는 측면을 고려하면 상습 음주 운전 역시 알코올 의존증의 한 증상으로 평가하는 데 큰 무리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 병원은 지난 1~14일 외래·입원 환자 180명을 대상으로 ‘음주 운전’ 관련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음주 운전 경험 횟수’를 묻는 말에 1회 55명, 2회 45명, 3회 32명, 4회 이상 22명, 기타(무응답) 26명으로 나타났다. 음주 운전에 단속된 후에도 꾸준히 운전대를 잡는 알코올 의존증 환자가 적지 않음을 시사한다. 끊기 힘든 마약류 사범보다 음주 운전자의 재범률이 더 높을 정도다. 국내 한 연구에 따르면 일반 운전자보다 상습 음주 운전자에서 알코올 의존증의 비율이 3배 이상 높았다.
상습 음주 운전자라면 어떨 때 알코올 의존증을 의심할 수 있을까? 허 원장은 “인간의 뇌는 알코올을 소량 마셨을 땐 혈중알코올농도를 과대평가하지만 다량 마셨을 때는 오히려 혈중알코올농도를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알코올 의존증의 가장 대표적 증상이 ‘부정’인데 만약 술에 취했으니 그만 마시라는 주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술에 취하지 않았다며 운전대를 잡는다면 하루빨리 자신의 알코올 문제를 점검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알코올 의존증은 엄연한 질병이기 때문에 개인 의지로 극복하려는 시도 보다는 전문 치료 기관을 방문해 도움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