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수 우려 지역에 진입했습니다” 장마철에 내비 음성·알림문자 받는다

입력 2024-05-16 16:05 수정 2024-05-16 16:08

정부가 여름철 홍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예보 시스템을 본격 시행한다. 운전 중에도 침수지역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내비게이션 음성 안내 시스템도 적용한다.

환경부는 16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4년 여름철 홍수 대책을 발표했다. 기후변화 탓에 예측하기 어려운 집중호우가 자주 발생하면서 정부는 국민안전을 최우선 목표로 두고 ‘인공지능 홍수예보’ ‘국민 체감형 정보 제공’ ‘취약 지역 사전 대비’ ‘홍수 대비 물그릇 확보’ ‘현장 대응 역량 강화’ 등 5가지 중점 과제를 추진할 예정이다.

우선 AI 홍수예보를 올해부터 본격 시행하고 예보 지점을 기존 75개소에서 올해 223곳으로 대폭 확대한다. 대하천 중심으로 시행하던 AI예보를 지류·지천까지 포함해 전국 시행하는 것이다. 아울러 전국에 설치된 수위관측소(673개소)에서 하천 수위를 1분 주기로 관측해 수위 상승 등 위험 상황을 관계기관에 전파한다.

지난해 처음으로 실시한 서울 도림천 도시침수예보도 올해 광주(황룡강), 포항(냉천), 창원(창원천) 지역까지 확대해 운영할 계획이다. 이러한 과학적 홍수예보와 모니터링으로 주민을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환경부는 보고 있다.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홍수 정보 제공에도 나선다. 올해 7월부터 차량 운전자가 홍수경보 발령지점이나 댐 방류지점 부근을 진입 시, 내비게이션에서 음성으로 안내를 하는 시스템을 적용한다. 홍수경보 발령 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약 1.5㎞ 내에 진입하게 되면 안내를 받게 된다. 개인별 휴대전화 위치정보(GPS)를 활용해 홍수주의보·홍수경보 알림 문자(CBS)도 전송한다. ‘본인이 침수우려 지역에 있는지 여부’와 ‘인근 침수우려 지역 지도’를 함께 제공해 위험 지역을 신속히 벗어날 수 있도록 돕겠다는 구상이다.

관계기관에는 기존에 팩스나 문자로 상황을 전파했지만, 올해부터는 보이스 메시지 시스템(VMS)과 재난안전통신망을 추가해 지방자치단체, 소방, 경찰 등 홍수대응 기관에 홍수 상황을 일시 전파한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16일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올 여름철 홍수피해 예방을 위한 환경부의 '2024년 여름철 홍수대책'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환경부는 홍수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천과 하수도 등 취약 지역 점검과 보수·보강도 신속히 완료하겠다고 밝혔다. 취약 구간은 홍수취약지구로 추가 지정하고 물흐름에 지장이 있는 곳은 수목 제거와 퇴적토 준설 등을 홍수기 전까지 최대한 완료한다. 하수관로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빗물받이도 점검·청소하도록 협조해 도시침수를 예방한다.

이외에도 집중호우시 최대한 물을 담아둘 수 있도록 홍수기 전까지 다목적댐 집중 방류를 시행한다. 국가하천 전 구간에 설치한 8000여대의 CCTV를 활용해 피해 상황을 신속히 확인하고, 지방자치단체도 해당 CCTV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운영해 대응능력을 높일 계획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홍수기 전 남은 기간 동안 하천 공사 현장 점검 및 조치 등을 신속히 완료해 홍수 대응에 사각지대가 없도록 하겠다”며 “올해 여름철 집중호우로부터 국민들이 대피할 수 있는 골든타임을 충분히 확보해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여름철 강수량은 평년(622.7~790.5㎜)과 비슷하거나 많고, 지역에 따라 편차가 클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은 2020년에 역대 최장인 54일의 장마를 기록했고, 2022년에는 서울 도심 지역에 시간당 141㎜ 강수가 쏟아져 지하철역 등을 중심으로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 지난해 7월에도 중부지방에 500년 빈도의 집중호우가 발생해 피해가 속출했다.

세종=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