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14일 라인야후 사태와 관련해 이틀 연속 브리핑을 열고 네이버 의사에 반하는 일본 정부 조치는 있어서는 안 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성태윤 정책실장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적절한 정보 보안 강화 대책이 제출되는 경우 일본 정부가 자본 구조와 관련해 네이버 의사에 배치되는 불리한 조치를 취하는 일이 절대 있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성 실장은 “일본 정부도 수차례 행정지도에 ‘지분 매각’이라는 표현이 없고 경영권 차원에서 언급한 것이 아니라고 밝혔다”고 짚었다.
이어 “정부는 라인야후가 일본 정부에 자본 구조 변경을 제외한 정보 보안 강화 대책을 제출하고자 한다면 네이버에 필요한 지원을 충분히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필요 시 우리나라 관련 기관의 기술적·행정적 자문이 포함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브리핑에 대해 “7월 1일까지 일본 정부에 라인야후가 제출하는 행정지도에 따른 조치 보고서에 지분매각이 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네이버와 일본 소프트뱅크는 일본의 대표적인 메신저앱 ‘라인’의 운영사 라인야후의 모회사인 A홀딩스 지분을 각각 50%씩 보유하고 있다.
일본 총무성은 지난해 11월 한국 네이버 클라우드를 통해 일본 라인 이용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라인야후에 7월 1일까지 구체적인 대응책을 제시하도록 요구했다.
일본 정부는 행정지도에 지분 매각이라는 표현이 없다고 확인했으나, 사실상 네이버에 대한 일본 정부의 A홀딩스 지분 매각 압력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우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10일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
김승연 기자 ki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