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1번지’ 울산 동구 하청 노동자들 저임금 가장 큰 문제

입력 2024-05-14 11:03 수정 2024-05-14 11:04

울산 지역 조선업 종사 하청 노동자들은 낮은 임금 수준을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동구는 지난해 12월부터 하청노동자 지원계획 수립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용역의 중간 보고서를 14일 공개했다.

울산 동구는 현대중공업·현대미포조선 등 대형 조선사가 있어 ‘한국 조선업의 1번지’로 불린다.

용역을 진행한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지난해 12월 부터 하청 노동자 대상으로 실태 조사를 진행했다. 실태조사는 설문조사(250명), 집단심층면접(21명), 일대일 면담조사(6명) 방식으로 진행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동구지역 조선업 종사자 4만1584명 가운데 55.1%(2만2917명)는 하청노동자였다.

산학협력단은 동구 인구 15만여 명 가운데 3분의 1인 약 5만명이 하청노동자 혹은 관련 가족이라고 추정했다.

‘직장에서의 가장 큰 어려움’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 78.5%가 ‘낮은 임금’이라고 답했다. 응답자들의 임금 수준은 지난해 기준 월평균 331만원이었다. 응답자들이 원하는 적정 임금 월 438만원보다 107만원 낮은 수준이다.

하청노동자 삶의 질 개선을 위해 필요한 과제 1순위로 임금인상(89.4%)이 뽑혔다. 성과금 동일적용(59.3%), 정규직 채용(33.7%), 근속 보장(18.7%)이 뒤를 이었다.

임금 체불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30.9%, 4대 보험료 미납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36.4%에 달했다.

일하다 다친 경우 공상 처리(회사에서 치료비만 받는 것)만 받는다고 답한 비율이 63.1%로 가장 높았고, ‘산재 처리한다’라는 비율은 21.3%에 그쳤다.

건강보험 등 ‘자비 치료한다’라는 응답(19.7%)도 적지 않았다.

산재 처리를 하지 않는 이유는 ‘경미해서’가 63.1%로 가장 많았고, 회사에서 신청하지 말라고 권유(22.7%), 불이익 우려(22.7%), 산재 인정까지 소요 시간과 불안정 우려(18.9%) 등이 뒤를 이었다.

연구를 위탁 수행한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은 “동구 주민 3분의 1을 차지하는 하청 노동자들의 노동 문제를 주민의 권리로 이해해야 한다”라며 지자체 차원의 종합 지원정책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와함께 하청 노동자 현황 파악 및 소통망 구축, 권익 보호 위원회 설치, 전담 부서 신설, 비정규직 노동자 지원센터 역할 강화 등 5대 정책과제·16개 세부 과제도 제안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