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대출이 쉽지 않은 20~30대 또는 영세 자영업자 등을 상대로 연 최고 1만3000%에 달하는 ‘살인적인 고금리’를 뜯어낸 대부조직 3곳이 경찰에 적발됐다. 이들은 회원 수 13만명이 넘는 인터넷 카페를 운영하면서 범행 대상을 물색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부산경찰청 형사기동대는 대부업법·채권추심법 위반 등 혐의로 조직 3곳을 적발해 5명을 구속하고, 84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13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39명으로 구성된 A조직은 회원 수 12만명, 1만6000명인 대부 카페를 운영하면서 2021년 2월부터 지난 4월까지 대출희망자 1578명 개인정보를 무등록 대부업자에게 넘기는 방법으로 4억9000만원 상당의 대부 중개 혐의를 받는다.
이들은 대부 카페에 매크로 프로그램을 활용해 대출 광고를 올린 뒤 이를 보고 연락해 온 사람들의 개인정보를 수집, 대출을 중개하거나 직접 대출을 실행했다.
이 카페에서 활동하던 또 다른 B조직은 대출 희망자 정보를 불법 대부조직에 유통하면서 226억원 대부를 중개해 수수료로 24억원을 받아 챙겼다. B조직 2명은 58억원을 직접 대출하기도 한 것으로 파악됐다.
B조직과 또 다른 40대 D 씨가 운영하는 대부 조직은 피해자 5158명에게 91억7000만 원가량을 빌려준 뒤 최대 1만3973%의 이자율을 적용해 부당 이자 47억 원을 받아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 조사 결과 B조직과 또 다른 조직은 5158명에 총 91억 7000만원을 빌려주고, 이자로 47억원을 받아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100만원을 대출하려는 사람에게 선이자 40만원을 제외한 60만원을 빌려주고 4주만에 100만원을 갚으로는 식이었다. 연 이자율은 800%~1000%였고 1만3973%에 달하는 초고금리에 돈을 빌린 사람도 있었다.
이들 대부 카페를 통해 돈을 빌린 채무자는 대부분 금융권 대출이 쉽지 않은 20~30대거나 영세 자영업자였다. 불법 대부업자들은 채무자들이 돈을 기한 내에 갚지 못하면 집을 찾아가 소란을 피우거나, 대출을 실행할 때 받아 둔 얼굴 사진을 SNS에 올리는 등의 방법으로 협박하기도 했다.
경찰은 이들의 사무실에서 고가 명품 시계, 귀금속, 현금 등 11억원 상당을 압수하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통보해 대부 카페 2곳을 폐쇄 조치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