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군 27만명의 이름과 은행 정보 등이 담긴 급여 시스템이 해킹당했다. 영국 정부는 배후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하지 않으면서도 “국가 개입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7일(현지시간) BBC에 따르면 그랜트 섑스 국방장관은 이날 하원에서 “국방부 계약업체가 위탁 운영하는 군인 급여 시스템에서 데이터 유출 문제가 발생했다”며 “최근 전역자를 포함해 전·현직 군인 27만명이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악의적인 세력의 행위일 수 있다는 징후가 있으며 국가 개입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섑스 장관은 이날 특정 국가명을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영국 매체들은 중국이 배후로 의심받고 있다고 전했다.
하원 국방위원장을 지낸 토비어스 엘우드 의원은 “급여 시스템에서 군 인력의 이름과 은행 정보를 겨냥한 것이 (배후로) 중국을 가리킨다”며 “재정적으로 취약한 사람을 회유하려는 계획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리시 수낵 총리는 이날 런던 남동부를 방문한 자리에서 이번 사건과 관련해 “중국과 다른 국가들이 제기하는 위험 요인에 맞서 우리를 보호하기 위해 강력한 정책을 펴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반발했다. 린젠 외교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영국 정치인들의 발언은 터무니없다”며 “중국은 모든 형태의 사이버 공격에 단호히 반대하며 타국을 비방하는 데 이 문제를 이용하는 것을 거부한다”고 비판했다.
독일과 폴란드 등에서는 중국·러시아와 관련된 간첩 사건이 수면 위로 드러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독일 연방검찰은 이날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막시밀리안 크라 유럽의회 의원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크라 의원의 보좌관인 지안 궈는 유럽의회 내부정보를 중국 정보기관에 넘긴 혐의 등으로 지난달 22일 체포됐다. 폴란드에서는 카토비체의 각료회의실에서 도청 장치가 탐지돼 당국이 조사에 나섰다.
장은현 기자 e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