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의 윤곽이 발표됐지만 교육현장에서는 대입전형 시행계획이 나오지 않은 데다 의정 갈등으로 입시정책의 불확실성이 높아 수험 전략을 세우기 어렵다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고등교육법은 수험생의 안정적인 입시 설계를 위해 입학년도 1년 10개월 전까지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시행계획)을 공표하도록 정하고 있다.
시행계획에는 모집 시기별 선발인원, 전형유형,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영역과 반영비율, 학생부 반영 교과 반영방법, 최저학력 기준 등이 포함된다.
올해 고3 학생들이 치를 2025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도 이 학생들이 고교 2학년이었던 지난해 4월 말 이미 발표됐다.
하지만 현 정부에서 의대 증원과 자율전공 확대를 추진하면서 기존의 시행계획이 사실상 무용지물이 됐다. 통상 고3 5월 말에 발표되는 수시모집요강은 고2 때 발표된 시행계획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데, 올해는 의대 증원과 자율전공 확대로 대학별 선발방식과 모집인원에 큰 변화가 생겼기 때문이다.
수시모집 원서접수가 4개월 앞으로 다가왔지만, 기존 시행계획을 바탕으로는 구체적인 입시 전략을 짜기 어려운 상황이다. 게다가 수시모집요강도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태여서 혼란스러움은 계속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입시 결과(입결) 데이터의 가치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지난해 입결 데이터를 활용한 예측이 어렵고, 재수생 유입 변수가 커졌다.
서울고법 행정7부는 이달 10일까지 정부 측 의대 증원 근거를 제출받은 뒤 이달 중순까지 결론을 낼 예정이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