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증환자, 응급실 이용 증가 움직임… 정부 ‘이용 자제’ 당부

입력 2024-05-03 17:35 수정 2024-05-03 17:53
전남 광주의 한 응급의료센터. 119구급대가 병원 응급실로 환자를 이송 중이다. 뉴시스

전공의 이탈 사태 후 정부가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하면서 응급의료센터를 방문하는 경증환자 숫자가 줄었으나, 최근 그 수가 다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는 경증환자의 응급실 이용 자제를 촉구했다.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3일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한 첫 주인 2월 넷째주에 권역응급의료센터 응급실을 내원한 일 평균 환자 수는 2854명으로 2월 첫째주(4450명)의 64.1% 수준으로 떨어졌으나 3월 셋째주(2926명), 지난주(3093명)를 거치면서 다시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의사 집단행동 이후 오름세였던 응급환자 비중은 최근 다시 감소했다. 이때 응급환자는 ‘한국형 중증도 분류체계’(KTAS)상 1~2등급에 해당하는 이를 말한다.

2월 첫째주 13%였던 1~2등급 환자는 전공의들의 의료 현장 대거 이탈 후 응급의료센터가 중증·응급환자 중심으로 운영 체제를 조정하면서 2월 넷째주 15.8%까지 증가했다. 이어 비상진료 5주차인 3월 셋째주에는 그 비중이 17.3%까지 높아졌다.

그러나 비상진료 10주차였던 지난주 1~2등급 환자 비중은 16.5%로 5주차에 비해 0.8%p 낮아졌다. 특히 지난 1일 근로자의 날에는 1~2등급 환자 수가 전주 대비 9.2% 떨어졌다.

반면 중등증(중증과 경증의 중간) 환자와 경증 환자는 최근 그 비중이 증가했다. 지난 1일 기준 중등증 환자 비중은 전주 대비 4.6% 더 높아졌고, 경증환자의 경우 그 비중은 35.3%나 급증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이 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주요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응급실을 찾은 경증환자가 늘어난 것과 관련해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근로자의 날 휴무에 따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면서도 “경증 환자가 다시 증가하는 추세로 접어드는 것은 아닌지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 차관은 “비상진료체계가 장기화하면서 경증환자의 대형병원 이용이 조금씩 증가할 우려가 있다”며 “더 아프고 위중한 환자를 위해 대형병원 이용을 자제해주신 국민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다소 불편하더라도 중증·응급환자 진료 차질이 최소화되도록 지속 협조해달라”고 당부했다.

황민주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