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증원에 반발해 병원을 이탈한 전공의 가운데 일부가 최근 들어 복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30일에 이어 3일에도 일부 의과대학 교수들이 외래진료와 수술을 멈췄지만, 휴진 참여율이 높지 않아 의료 대란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 참석해 “최근 전공의 일부가 환자 곁으로 돌아오고 있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100개 수련병원에서 근무 중인 레지던트는 전날 기준 590여명으로 이틀 새 20여명 늘었다. 전체 9900여명의 6% 수준이지만, 사태가 두 달 넘게 이어지자 소수의 전공의가 생활고를 호소하며 병원에 복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임의 계약률도 조금씩 늘고 있다. 중대본에 따르면 지난 2일 기준으로 100개 수련병원 전임의 계약률은 65.8%로 지난달 30일(61.7%)보다 4.1% 포인트 증가했다. 전공의 집단사직 직후인 지난 2월 말에 전임의 계약률은 33.6%였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중대본 브리핑에서 “정부는 의료계와 일대일 논의도 가능하다”며 대화 참여를 촉구했다. 정부는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도 대한의사협회와 전공의가 참여할 수 있도록 자리를 비워뒀다고 강조했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아산병원, 서울성모병원을 비롯해 전국 10여개 의대의 교수들은 주당 1회 외래진료와 수술을 중단키로 했다. 지난달 30일에는 서울대병원과 세브란스병원 소속 일부 교수가 휴진에 들어갔었다. 이들은 탈진과 의료사고를 막기 위해 휴진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휴진한 서울아산병원 교수 50여명은 병원 정문 앞에서 피켓 시위를 벌였다. 정부는 당장 휴진에 따른 혼란은 없다고 판단한다. 박 차관은 “전국 병원 88곳 중 87곳이 정상 진료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전면적 진료 중단 등의 큰 혼란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전공의들은 집단 행정소송에 나섰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 등 20여명은 서울행정법원에 조규홍 복지부 장관을 상대로 업무개시 명령 취소와 진료 유지 명령 취소,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 취소 소송을 제기했다.
정신영 기자 spiri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