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와 전남 도내 6개 시·군이 ‘빛고을 광역경제권’을 구축해 공동번영을 꾀하기 위한 첫걸음을 뗐다. 지역·인구 소멸과 수도권 집중에 대응하기 위해 서남권 광역경제 체제를 도입하겠다는 협약을 맺었다.
광주시와 전남 6개 시·군은 2일 오후 광주시청 소회의실에서 빛고을 광역경제권 조성을 위한 상생발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광주와 행정구역 경계가 맞닿아 반나절 생활권인 나주시, 함평, 영광, 장성, 담양, 화순군 등 6개 기초단체가 다양한 영역에서 인구가 많고 경제 규모가 큰 광역단체와 적극 연대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협약식에는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안상현 나주 부시장, 이상익 함평군수, 강종만 영광군수, 김한종 장성군수, 이병노 담양군수, 구복규 화순군수 등이 참석했다.
반경 30㎞ 이내인 이들 지자체의 통근·통학 인구는 연간 6만5000여 명에 달한다. 주거와 일자리, 문화 소비, 쇼핑 등 사실상 공동생활권이 형성돼 일상생활이 밀접하다.
이들은 향후 산업·광역교통·문화관광·환경생태 등 4개 분야, 23개 과제 추진 경과와 계획을 공유하고 실질적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에너지 가격 안정을 위한 분산에너지 보급 활성화와 에너지 신산업 창출, 미래 모빌리티·바이오 헬스 등 산업 생태계 구축, 단일생활권 형성을 위한 광역 도로·철도 인프라 확충, 즐기고 머무르고 싶은 관광도시 조성, 지속 가능한 환경보전을 위한 영산강 맑은 물 개선 등에 힘을 합친다는 것이다.
실제 광주시와 영광군의 경우 ‘탄소 중립 공동연합’을 실행하기로 했다. 영광에서 생산되는 태양광과 해양풍력 에너지를 재생에너지 생산량이 부족한 광주에 공급해 탄소 중립을 돕는다는 것이다.
호남의 구심점인 광주는 재생에너지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업의 사용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100% 전환하는 ‘RE100’ 이행률이 10%대에 불과하다.
시와 인접 지자체는 이 같은 상생 정책을 각 방면에서 도입해 상호 발전을 꾀하기로 했다. 장사시설 이용료 감면, 동복호 상수원 보호구역 재조정, 광주 삼도∼함평 나산 광역도로, 첨단연구개발특구 진입로 개설, 장성 로컬푸드 2호점 개장 등의 현안도 지속해서 협력한다는 방침이다.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이전과 광주~나주 광역철도 건설 등 지역발전을 앞당길 굵직한 사업도 포함돼 있다.
이들은 행정구역의 경계를 뛰어넘은 ‘빛고을 광역경제권’을 먼저 조성하고 나아가 인구 200만 명 이상의 ‘광역도시’를 실현한다는 장기적 구상이다.
전남 도내 6개 지자체가 광주와 의기투합을 결의하자 인구유출을 우려하는 전남도는 내심 언짢아하고 있다.
전남도는 광주 경제자유구역을 함평과 장성까지 확대하겠다는 광주시의 총선 공약 제안에 대해 최근 사전 협의가 없었고 비효율적이라며 공개적으로 유감을 나타내기도 했다.
도는 광주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도내 지자체 인구와 경제력이 광역단체인 광주에 일방적으로 흡수돼 전남지역 인구소멸 등이 가속화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분위기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수도권 일극 체제와 인구감소 위기를 벗어나려면 전남과의 상생은 절대적”이라며 “초광역 협력을 이루지 않으면 우리에게 미래는 없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