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주캄보디아 대사관 등 5개 재외공관에 테러 경보를 관심에서 ‘경계’로 두단계 올렸다. 정보당국은 최근 한국 공관원을 겨냥한 북한의 위해 시도 첩보를 입수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2일 대테러센터 주관으로 개최한 ‘테러대책실무위원회’에서 주캄보디아 대사관, 주라오스 대사관, 주베트남 대사관, 주블라디보스토크 총영사관, 주선양 총영사관에 대한 테러 경보를 상향 조정했다. 테러 경보는 테러 위협의 정도에 따라 관심·주의·경계·심각의 4단계로 구분한다. 경계는 테러 발생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판단될 때 발령한다.
국정원은 “최근 북한이 중국과 동남아·중동 등 여러 국가에서 우리 공관원이나 국민 대상으로 테러를 준비 중인 징후가 다수 입수됨에 따라 유관기관에 지원한 바 있다”며 “북한은 해당 국가들에 요원들을 파견하여 대한민국 공관 감시를 확대하고, 테러 목표로 삼을 우리 국민을 물색하는 등 구체적인 활동도 전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장기체류 해외파견자들이 북한으로 돌아가면서 체제에 회의를 느낀 공관원, 무역일꾼, 유학생 등 북한 엘리트들의 이탈이 속출하고 있다고 전했다. 국정원은 “해외 파견 북한인들을 관리·감시하는 공관 간부 및 보위성 등 특수기관원들이 ‘자발적인 이탈 사고’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외부 소행으로 김정은에게 허위 보고하고, 다시 이에 대한 대응 및 보복을 하는 차원에서 우리 공관원 대상 테러를 기도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재외공관의 테러 대비 현황을 점검하고, 안전 확보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협의했다. 정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해외 테러 동향 등을 예의주시하면서 우리 공관, 공관원 및 재외국민의 안전 확보를 위한 조치를 취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이정헌 기자 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