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상원 “北·러·이란, 3위 암호화폐 테더로 제재 회피”

입력 2024-04-30 09:45 수정 2024-04-30 14:27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미국 상원의원들이 세계 시가총액 3위의 암호화폐 테더 토큰을 북한·러시아·이란의 제재 회피 수단으로 지목하고 조 바이든 행정부에 유통 차단을 촉구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9일(현지시간) “엘리자베스 워런 민주당 의원과 로저 마셜 공화당 의원이 전날 백악관, 재무부, 국방부에 ‘암호화폐가 북한·러시아·이란에서 서방 제재 회피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내용의 서한을 발송했다”고 보도했다.

두 상원의원은 러시아가 2022년 2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뒤 서방 제재를 회피하기 위해 테더를 활용한다는 WSJ 기사를 인용하면서 “테더는 제재 회피를 포함한 부정행위자들의 선택을 받는 암호화폐가 됐다”고 비판했다.

테더는 미화 1달러와 같은 가치로 고정하는, 이른바 페그(peg) 방식을 채택한 스태이블코인이다. 비트코인, 이더리움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시총을 기록하고 있다. WSJ은 “러시아가 드론 등 첨단장비 부품을 해외에서 조달할 때 테더를 활용한다”고 지적했다.

미국 정부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2개월 뒤인 2022년 4월 테더 전용 플랫폼인 개런텍스를 제재 대상에 추가했다. 이에 대해 워런·마셜 의원은 “개런텍스 차단이 완전한지 불분명하다”며 “제재의 효과는 전적으로 우리의 집행 능력에 달렸다”고 밝혔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