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은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첫 영수회담에서 ‘이태원참사특별법’의 21대 국회 내 처리를 합의해달라고 호소했다.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시민대책회의는 29일 서울 중구 서울광장 앞 분향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유가족들은 이태원참사특별법이 21대 국회 잔여 임기 내에 마무리될 수 있도록 영수회담의 의제로 삼아 진지하게 논의하고 결론을 내려 줄 것을 호소한다”고 밝혔다.
이정민 협의회 위원장은 “22대 총선 결과는 명백했다. 국민은 세월호 참사와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과 유가족들을 기억하며 투표소로 향했고 해병대 채상병의 죽음의 진실을 위해 표를 던졌다”며 “생명이 우선되는 안전 사회를 향한 시민들의 지지와 응원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 대표를 향해 “이태원 참사의 진실을 바라는 유가족과 시민들의 요구를 윤 대통령에게 가감 없이 전달해달라”며 “서울의 거리가 안전할 것이라고 믿었던 수많은 시민들이 일상을 보내다가 한순간에 별이 돼야 했던 국가 부재의 시간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 달라”고 촉구했다.
이태원 참사 희생자 고(故) 이상은씨의 어머니 강선이씨는 “윤 대통령 취임 후 2년간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에 책임을 다하지 않아 이태원 참사가 발생했다”며 “(정부는) 책임을 다하고 소통하는 변화를 보여주기를 바란다. 그 첫걸음은 이태원특별법 제정이어야 한다”고 호소했다.
한편 이태원참사특별법은 참사의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를 위한 특별조사위원회 설치를 골자로 하는 법안이다.
지난 1월 9일 해당 법이 야당 주도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으나 같은 달 30일 윤 대통령은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해 다시 국회로 돌아간 상태다.
김승연 기자 ki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