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외국인주민 정착지원과 사회통합 추진을 위한 ‘제1차 외국인 친화도시 인천 조성 기본계획’을 수립했다고 29일 밝혔다.
행정안전부 통계상 지난해 말 기준 인천의 외국인주민은 14만6885명으로 경기, 서울에 이어 전국에서 3번째로 많다. 매년 증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코로나19로 전국적인 감소 현상을 보인 2020∼2021년에도 늘어났다.
시는 꾸준히 유입되는 외국인주민 정착지원과 사회통합 추진을 위한 기본방향 설정이 필요하다고 판단, ‘인구정책 전환을 대비한 외국인 친화도시 인천 만들기’를 시정혁신 과제로 선정하고 연구용역 등을 진행해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시는 기본계획에서 외국인 친화도시를 내·외국인이 화목하게 어울리는 행복도시로 정의했다. 또 문화다양성이 존중되는 포용도시 조성 추구를 목표로 삼았다.
특히 ‘시민과 외국인이 함께 만들어 가는 행복도시 인천’이라는 비전 아래 정착지원, 소통화합, 인권존중, 정책참여를 핵심가치로 4개 정책목표, 11개 추진과제, 56개 세부사업을 설정했다. 세부사업은 앞으로 5년간 추진되며 매년 수립하는 외국인정책 시행계획에 반영된다.
올해부터 새롭게 추진되는 사업에는 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 운영, 외국인청년 유학생 취업지원, 외국인 인식개선 방송프로그램 제작 등이 있다. 외국인지원시설 확충, 인식개선 교육 및 홍보, 외국인 아동 보육 지원 등은 확대 추진된다.
시는 기본계획과 관련한 시민 공감대 형성을 위해 다음 달 19일 인천시청 앞 애뜰광장에서 ‘외국인 친화도시 비전 선포식’을 열 계획이다.
윤현모 시 글로벌비즈니스협력단장은 “외국인주민이 지역사회 구성원으로 화합할 수 있도록 지원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