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의 책임은 전적으로 감독에게 있다. 선수들에게 비난보다 격려를 많이 해주셨으면 하는 바람이다.”
선수단과 함께 27일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한 23세 이하(U-23) 축구대표팀 황선홍 감독이 올림픽 남자축구 본선 진출에 실패한 것에 대해 책임을 통감하며 국민들 앞에 고개를 숙였다.
황 감독은 “늦은 시간까지 성원해주신 모든 분께 죄송하고 미안하다”며 “책임을 통감한다”고 밝혔다.
한국 U-23 대표팀은 전날 신태용 감독이 지휘하는 인도네시아와의 2024 아시아축구연맹(AFC) U-23 아시안컵 8강전에서 120분 연장 혈투 끝에 2-2로 비긴 뒤 승부차기에서 10-11로 패하면서 4강 진출에 실패했다. 파리 올림픽 예선을 겸하는 이번 대회에서 1~3위 팀은 올림픽 직행권을 얻는다. 4위 팀은 아프리카의 기니와 대륙별 플레이오프를 통해 파리행 여부가 결정된다.
경기의 패인에 대해선 “중앙 수비 쪽에 문제가 있어서 부득이하게 포백(4-back)에서 스리백(3-back)으로 전환했다. 현재 자원으로는 스리백이 가장 좋겠다고 해서 내린 결정이지만 수비만 하자는 것은 아니었다”며 “중원에서 압박을 가하려고 했는데 원활치 않았다. 전적으로 제가 내린 판단이지만 실수가 있었다. 후반에 다른 방향으로 접근하려고 했는데 부상과 퇴장 등 여러 변수 때문에 원활치 않았다”고 분석했다.
한국은 8강에서 탈락하면서 1984년 로스앤젤레스(LA) 올림픽 이후 40년 만에 본선 무대에 오르지 못하게 됐다. 10회 연속 올림픽 남자축구 본선 진출 기록을 세우는 데도 실패했다.
황 감독은 연령별 대표팀 운영 시스템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이야기했다. 그는 “연령별 대표팀은 4년 주기로 가야 한다. 아시안게임 성적에 따라 사령탑의 운명이 좌우되면 아시안게임에만 집중하게 돼 올림픽 준비를 할 수 없다”면서 “이런 구조로는 아시아권에서 상대를 완전히 제압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황 감독은 이달 말로 대한축구협회와의 계약이 끝난다. 카타르 현지에서 축구협회 관계자들과 A대표팀 사령탑 면접을 봤다는 소문에 대해선 “말도 안 되는 소리다. 나는 그렇게 비겁하지 않다”며 “지금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할 뿐이다. 다음 일을 생각하고 뒤에서 작업하는 그런 건 안 한다”고 잘라 말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