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권 탈취 의혹 등을 둘러싸고 하이브와 민희진 어도어 대표 간의 날선 공방전이 계속되고 있다. 하이브는 “업무일지에 기록된 경영권 탈취 논의는 농담이 될 수 없으며, 내부고발과 관련해 하이브의 답변을 받았음에도 거짓 주장을 하고 있다”며 전날 민 대표가 기자회견에서 한 주장에 대해 반박했다.
하이브는 26일 “민 대표가 전날 기자회견에서 한 발언들에 대해 주주가치와 IP 보호를 위해 사실관계를 정확히 말씀드리고자 한다”면서 공식입장을 내고 민 대표가 한 발언들에 대해 조목조목 따졌다.
하이브는 경영권 탈취가 농담이었다는 민 대표의 주장에 대해 “여러 달에 걸쳐 동일한 목적 하에 논의가 진행된 기록이 대화록, 업무일지에 남아 있다”며 “더구나 대화를 나눈 상대인 부대표는 공인회계사로 기업 지배구조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지니고 있으며 하이브의 상장 업무와 다수의 인수합병(M&A)을 진행한 인물”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풋옵션 행사로 획득할수 있는 금액을 계산하고 행동 시기까지 구체적으로 명시했으며 권리침해소송, 투자사, 여론전 등의 용어가 적시된 문건이 여러 건 발견된 것을 농담으로 치부하고 넘어가려 해서는 안 된다. 부대표에게 ‘이건 사담 한 것으로 처리해야 해’라고 지시한 기록까지 있다”고 덧붙였다.
하이브에서 충분한 보상을 받지 못했다는 주장에 대해선 “민 대표는 본인이 ‘연봉 20억’이라고 주장했다. 더 정확히는 지난해 성과에 대한 인센티브가 20억원이고 연봉과 장기인센티브는 별도로 책정돼 있다”며 “이는 하이브 본사 및 한국 자회사 구성원 가운데 압도적인 연봉순위 1위”라고 강조했다.
이어 “하이브는 연봉 외에도 일반인들이 상상하기 어려운 정도로 큰 액수의 막대한 주식보상을 제공했지만 회사가 도저히 수용할 수 없는 액수를 다시 제시하며 대화를 파국으로 이끌었다”고 밝혔다.
하이브가 자신의 내부고발 메일에 답변 없이 감사를 시작했다고 민 대표가 주장한 것을 두고는 “4월 22일 오전 10시 1분에 A4 6장짜리 분량의 상세한 답변을 보냈다. 이를 민 대표가 발송 당일 오후 12시경에 답변을 읽은 것도 확인했다”면서 “민 대표는 입장문에서도, 기자회견에서도 ‘답이 안왔다’고 반복 주장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하이브는 민 대표에게 보낸 답변 메일 사진을 증거 자료로 공개했다.
뉴진스와 르세라핌이 데뷔하던 시기에 뉴진스의 홍보를 막았다는 주장에 대해선 “두 팀의 데뷔 시점이 연달아 이어져 서로 충분히 홍보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했고, 최소 일정기간 홍보기간을 설정하기로 한 것”이라며 “양 팀의 뉴스 밸류를 모두 보호하기 위해 요청 드렸고 이마저도 중간에 기간을 단축하여 뉴진스의 홍보를 시작하게 됐다. 민 대표의 주장은 어도어의 성공을 위해 쏘스뮤직과 하이브가 얼마나 전폭적인 지원과 양보를 했는지를 잘 알고 있는 구성원들의 인식과는 크게 다르다”고 반박했다.
민 대표가 자신과 하이브의 계약을 ‘노예계약’이라고 빗댄 데 대해서도 반박했다. 하이브는 “주주간계약상 경업금지 조항은 비밀유지 의무가 있음에도 민 대표가 기자회견에서 언급했다. 경업금지는 주주가 보유한 지분을 매각한 뒤 동일한 업종에서 창업함으로써 부당한 경쟁상황을 막기 위해 매수자 측이 요구하는 조항으로 어느 업종에서나 흔히 있는 조항”이라며 “영원히 묶어놨다는 말은 사실이 아니다. 민 대표 본인이 ‘가만히 있어도 1000억 번다’고 표현했을 정도로 큰 금액을 보장 받고, 내후년이면 현금화 및 창업이 가능한 조건은 절대 노예계약이라고 할 수 없다”고 밝혔다.
민 대표가 무속인에게 회사의 중요한 정보를 노출하고 채용청탁을 받은 점에 대해서도 하이브는 “경영 전반에 세세히 개입하는 외부 인사를 단순 친구라고 볼 수 없다”며 비난했다.
하이브는 또 ‘지난해 1년간 뉴진스로만 273건의 보도자료를 작성, 배포했다. 방탄소년단을 위시해 그룹과 개인으로 모두 8개 팀이 활동한 빅히트뮤직의 659건, 세븐틴 등 4개 팀이 활동한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의 365건과 비교하더라도 결코 뉴진스 PR에만 소홀하다고 주장하기 어렵다. 당사 PR은 모든 레이블과 아티스트에 대해 차별없이, 최선을 다해 알리고 있다’고 설명한 사실을 공개하며 홍보 등에 있어 뉴진스를 홀대한다는 민 대표의 주장을 일축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