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온라인 직구 쇼핑 플랫폼 테무,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하는 어린이용 제품 22개 중 11개 제품이 안전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일부 제품에서는 기준치를 324∼380배를 초과하는 유해·발암물질이 검출됐다.
서울시는 어린이날을 앞두고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해외 직구 어린이용 제품에 대해 안전성 검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앞서 시는 지난 8일 4월 넷째 주부터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국내 소비자들의 구매가 많은 품목을 안전성 검사하고, 그 결과를 매주 발표하겠다고 했다. 이번이 첫 검사 결과 발표다.
검사 품목은 어린이 슬리퍼나 운동화를 꾸밀 때 사용하는 신발 장식품(지비츠) 16개, 키링, 어린이용 욕조, 어린이용 칫솔, 어린이용 피크닉 의자, 어린이용 차량용 햇빛가리개, 어린이용 수영모자 등 22개다. 유해 화학물질 검출, 내구성(기계적·물리적 특성) 등이 시험 항목이었다.
검사 결과 지비츠 16개 중 7개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DEHP, DBP)가 기준치 대비 최대 348배 초과 검출됐다. 일부 제품에서는 납 함유량이 기준치 대비 최대 33배 검출됐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불임을 유발하는 등 생식 독성이 있는 유해 물질이다. 특히 DEHP는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인체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돼 있다. 납은 안전기준 이상으로 노출되면 생식기능 악화뿐 아니라 암 위험도 증가할 수 있다.
어린이용 피크닉 의자에서는 프탈레이트 가소재가 기준치의 380배를 초과해 검출됐다. 어린이 차량용 햇빛 가리개에서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재가 기준치의 약 324배 초과 검출됐으며, 제품 일부 부분에서 납 함유량이 기준치를 초과했다. 물리적 시험에서는 작은 힘에도 부품이 조각나 삼킴, 질식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어린이용 욕조, 수영 모자도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서울시는 앞으로도 테무, 알리익스프레스 이외에도 국내 이용자 수가 많은 해외 직구 플랫폼으로 검사 대상을 확대해 시민들의 안전 사각지대를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또 시기별 수요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품목을 월별로 선정하고 3개 전문 시험기관과 협의를 거쳐 검사 품목을 확정할 방침이다.
이강민 기자 riv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