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석 신임 대통령비서실장은 24일 “대통령실이라는 이름으로, ‘대통령실 관계자’라는 이름으로 메시지가 산발적으로 외부에 나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정 실장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수석비서관들과 가진 첫 회의에서 “대통령실은 일하는 조직이지, 말하는 조직이 아니다”라며 신중한 메시지 관리를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 실장은 그러면서 “대통령실의 정치는 대통령이 하는 것이지, 비서들이 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대통령의 결정은 최종적인 것이다. 그 보좌에 한 틈의 빈틈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주문했다.
정 실장은 수석들과의 첫 회의에서 대통령실 내부 기강잡기에 나선 것이다. 이는 최근 ‘대통령실 관계자’를 인용해 ‘박영선 국무총리, 양정철 대통령비서실장’ 인선설이 언론에 보도된 일과 관련이 있다.
당시 대통령실 대변인실 명의로 “검토된 바 없다”는 공식입장이 발표됐으나, 이후에도 일부 관계자가 “검토한 것은 맞다”는 취지로 설명해 ‘비선’ 논란으로 확대됐다.
정 실장은 이 같은 혼란의 반복을 막기 위해 메시지 혼선 방지를 당부한 것으로 분석된다.
정 실장은 또 “나는 ‘내일 그만두더라도 내 할 일을 하겠다’는 각오로 살아왔다”며 “대통령을 잘 보필하는 것이 국가에 충성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정 실장은 이어 “나부터 앞장서겠다”며 “여러분의 충만한 애국심은 대통령을 향해야 하고 국민을 향해야 한다”고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석열 대통령은 직접 인선을 발표했던 정 실장과 홍철호 신임 정무수석에게 이날 오후 임명장을 수여했다.
정 실장은 총선 참패 이후 뒤숭숭해진 용산 대통령실의 기강을 다잡아 윤 대통령을 보좌하고, 야당과 각종 민감한 현안에 대해 논의해야 할 중책을 맡았다.
윤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간의 회담 조율, 대통령실 내부 조직개편을 총괄하는 일도 정 실장 앞에 놓인 과제다.
정 실장은 23일 “사(私)는 멀리하고 공심(公心)만 가지고 임한다면 지금의 난관을 잘 극복해낼 수 있다”고 말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