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의협)는 24일 정부가 ‘의사단체가 대화 제안을 거부하고 있다’는 입장을 낸 데에 “어불성설”이라고 반박했다.
김택우 의협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적어도 전공의들에게 내려진 부당한 행정명령의 취하와 증원 과정을 멈추는 것이 대화의 자리로 이끄는 정부의 최소한의 성의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의협 비대위는 결론을 낼 수 없는 대화에는 참여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며 “전달한 요청사항이 받아들여지지 않았기에 대화 테이블에 전공의와 학생들이 나갈 수 없었던 것이고, 이들을 배제한 대화는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최근 정부가 2025년도 의대 정원 증원분 2000명을 각 대학이 50~100% 사이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한 것에 대해 “정부의 양보안을 받아들이지 않는 의사단체에 책임을 전가하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휘발유 1ℓ에 1600원 정도 하다가 공급 이슈가 없는데 갑자기 4000원으로 올리겠다고 했고, 국민들의 저항이 심하자 갑자기 주유소 재량으로 3000원에서 4000원 사이로 받으라고 결정하고 이후 한 달 후부터는 그냥 4000원으로 하는 것”이라며 “이런 상황이 양보라고, 협상안이라고 여겨지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문제의 해결은 무리한 증원 시도를 멈추고 머리를 맞대고 논의를 시작하는 것이 출발이 될 것”이라면서 “교수들의 사직이 진행되고 있고 5월이 되면 경험하지 못했던 대한민국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우리에게 주어진 남은 며칠이 문제 해결의 시간이 될 수 있도록 대통령께서 결정을 해 주셔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의협 대의원회는 오는 28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 호텔에서 대의원 정기 총회를 열어 대의원회 의장을 선출하고 이달 말로 종료되는 비대위 임기 연장 여부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김승연 기자 ki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