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취업자 중 사상 처음으로 대졸(대학교 졸업) 이상 학력자가 절반을 넘어섰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마이크로데이터는 지난해 국내 취업자 2841만6000명을 분석한 결과 대졸 이상 학력자가 50.5%인 1436만1000명으로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초대졸(전문대 등 초급대학 졸업), 대졸, 대학원졸(대학원 졸업)을 합한 것이다.
취업자 중 대졸 이상 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2003년 30.2%였던 대졸 이상 비중은 2011년 40%까지 증가했고, 이후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다 지난해 처음으로 50%를 돌파했다.
학력별로 보면 지난해 취업자 중 고졸(고교 졸업)이 37.1%로 가장 많았다. 이어 대졸 31.8%, 초대졸 13.9%, 중졸(중학교 졸업) 6.5%, 초졸 이하(초등학교 졸업 이하) 5.9%, 대학원졸 4.8% 순이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에서 대졸 이상 취업자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난해 대기업 취업자 308만7000명 중 대졸 이상은 245만3000명으로 79.5%에 달했다. 10명 중 8명이 대졸 이상인 셈이다. 학력별로 보면 대졸이 54.7%로 절반을 넘겼고, 대학원졸은 12.5%, 초대졸은 12.3%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고졸 18.9%, 중졸 1.0%, 초졸 이하는 0.6%였다.
중소기업의 지난해 대졸 이상 취업자 비중은 47%였다. 이 중 대졸은 29.0%, 초대졸은 14.1%, 대학원졸은 3.9%를 차지했다. 고졸이 39.3%로 가장 많았고, 중졸은 7.2%, 초졸 이하는 6.5%였다.
고학력자 증가 폭은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지난해 대기업의 대졸 이상 취업자 비중은 20년 전인 2003년(55.3%)보다 24.2%포인트 올랐다. 같은 기간 중소기업의 대졸 이상 취업자 비중은 19.0%포인트가 올랐다.
황민주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