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유산 ‘고창 고인돌’ 연구 본격…지형·채석장 등 조사

입력 2024-04-24 13:31
고창 죽림리 고인돌 유적. 고창군 제공.

세계 유산인 고인돌의 국내 최대 밀집지역인 고창 죽림리 고인돌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했다.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은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와 ‘고창 죽림리 고인돌’ 학술 조사 연구와 활용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협약을 통해 두 기관은 세계유산 고창 고인돌유적에 대한 학술연구와 보존관리, 연구성과 활용·홍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서로 협력키로 했다.

심덕섭 고창군수(오른쪽)와 최인화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 소장이 고창 고인돌 유적의 학술연구와 활용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고창군 제공.

고창군 고창읍 죽림리 고인돌은 매산마을을 중심으로 550여 기의 고인돌이 모여 있는 유적이다.

고인돌 유적으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군집을 이룬 데다 탁자 모양의 북방식, 천장 돌만 있는 개석식 등 다양한 형식이 분포돼 있어 학술 가치가 매우 큰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선사시대의 사회 구조, 정치 체계, 문화상 등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유적으로 인정받아 2000년 유네스코(UNESCO) 세계유산(정식 명칭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에 등재됐다. 국가 중요 사적이자 한반도의 유일한 선사시대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두 기관은 앞으로 약 3년간 고인돌 유적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에 나설 예정이다.

현재 사적으로 지정된 일대를 포함한 약 200만㎡ 범위를 대상으로 레이저를 활용해 지형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탐사 방법인 항공 라이더(LiDAR) 탐사가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고인돌 묘역의 경관을 분석하고 분포 현황을 조사할 계획이다.

또 고인돌을 이룬 석재와 토양을 분석해 어디에서 돌을 캐왔는지 등 채석장 산지와 관련한 연구도 진행키로 했다.

군은 이를 통해 고창 고인돌에 대한 보존·관리와 정비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세계 거석문화의 중심지로서 가치와 위상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심덕섭 군수는 “국가 차원의 연구를 통해 고창 고인돌의 가치가 더욱 확대될 수 있게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겠다”며 “앞으로도 체계적인 보존관리와 활용, 국내외 홍보를 통해 세계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더욱더 알리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고창=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