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는 항만·물류산업의 트렌드 변화와 국가 물류 인프라 구축에 따른 관련 분야 일자리 창출 확대에 대응해 항만·물류 전문인력 양성에 나선다고 23일 밝혔다.
최근 물류산업은 AI, ICT,빅데이터와 같은 4차산업과의 융·복합 첨단산업으로 변모하면서 물류기업들은 발빠른 대응을 위해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첨단 시설, 장비와 시스템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
이런 변화는 항만에도 적용돼 이달 개장한 부산항 신항 ‘서’ 컨테이너부두(2-5단계)는 무인 원격 컨테이너크레인, 자동이송장비를 도입해 완전자동화 항만으로 운영되고, ‘서’ 컨테이너부두(2-6단계), 진해신항도 이같이 건설·운영될 예정이다.
이처럼, 항만·물류산업이 디지털화, 플랫폼화, 로봇기술의 접목 등으로 고도화됨에 따라 창원시는 스마트 항만·물류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판단하고 2022년부터 전문인력 양성에 나서고 있다.
2022년부터 2023년까지는 항만·물류 전문인력 저변 확대를 위해 창원시민을 대상으로 자격증(유통관리사, 물류관리사, 국제무역사, 무역영어)과 지게차 면허 취득 지원을 통해 322명이 교육을 수료했고 204명이 물류 관련 분야 자격을 취득했다.
올해는 각 분야 전문가 자문을 바탕으로 4개 분야로 나눠 항만·물류 전문인력 양성 관련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스마트 메가포트 개항에 따라 스마트 항만을 운영·유지보수 기능인력을 양성한다. 또 산·학·관 업무협약에 따라 한국폴리텍Ⅶ대학생 약 30여명을 현장의 물류 전문가 교육, 취업까지 연계 한다.
이 외 지역대학의 우수 인재 배출을 통해 해양수산부 등 국가 인재 양성 사업에 관내 대학의 참여를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체계적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창원 항만·물류 전문인력 양성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을 한다.
김종필 창원시 해양항만수산국장은 “창원의 스마트 물류 인력양성이 세계물류의 중심으로 거듭날 수 있는 기회며 전국 각 지역 취업 연계 등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