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하는 의대생들이 대학 총장을 상대로 내년 입학전형 계획에 증원분을 반영하지 말라는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다. 정부를 향해 제기한 의대 증원 집행정지 신청이 잇따라 각하되자 전략을 바꾼 것으로 보인다.
충북대 의대생 168명은 22일 서울중앙지법에 정부와 충북대 총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를 상대로 대학 입학 전형 시행계획 변경 금지 가처분 신청을 냈다.
이들은 충북대 총장이 2025학년도 대입 전형 시행계획을 변경하지 말아야 한다고 요구했다. 앞서 정부가 발표한 대학별 의대 정원 배분에 따르면 충북대는 의대 입학정원이 49명에서 200명으로 늘어났다.
아울러 충북대 총장이 시행계획을 변경할 경우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이를 승인하면 안 된다고도 주장했다.
앞서 의대생들은 정부를 상대로 의대 정원 2000명 증원·배분 결정을 멈춰달라는 집행정지 신청을 서울행정법원에 냈지만, 법원은 증원의 직접 상대방은 각 대학 총장이라 신청인 적격이 없다며 잇따라 각하했다.
이에 당사자적격을 인정받을 수 있다고 보이는 가처분 신청으로 법적 대응 방향을 돌린 것으로 풀이된다.
충북대 의대 학생회장은 신청서 제출 전 서울중앙지법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충북대 의대에는 당장 신입생 200명이 들어갈 공간 자체가 없고 지금도 카데바(해부용 시신) 1구에 8명씩 붙어서 실습하고 있다”며 “증원 강행으로 인한 학습권 침해와 의학교육의 퇴보는 자명하다”고 말했다.
노정훈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 공동비대위원장도 “학생들은 의학교육의 당사자로서 졸속 증원 정책을 강력히 반대한다”며 “우리나라의 미래 의료를 망치는 의료 개악을 멈춰달라”고 요구했다.
같은 취지의 의대생 가처분 신청은 이날 증원 규모가 가장 큰 충북대를 시작으로 성균관대·동국대·단국대·인하대·울산대 등 다른 지방 소재 의대로 확장될 예정이다. 원고 전체 규모는 총 10개 대학 1363명에 달한다.
성윤수 기자 tigri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