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오는 25일부터 의대 교수들의 사직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와 관련해 “현재까지 사직서 수리가 예정된 사례는 없다”고 밝혔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22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 후 열린 브리핑에서 “대학교수들이 사직서를 제출한 지 한 달이 되는 25일 자동으로 사직 효력이 발생한다는 우려가 있는데, 일률적으로 효력이 발생한다고 볼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차관은 “사직서 제출 여부, 제출 날짜, 계약 형태가 상이하다”면서 “교육 당국이 파악한 바에 따르면 현재까지 대학본부에 접수돼 사직서가 수리될 예정인 (의대 교수) 사례는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의대 교수들은 집단행동이 아닌 대화의 자리로 나와 의견을 제시해 달라”며 “정부는 열린 자세로 의견을 경청하고 정책에 반영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정부가 내년도 의대 신입생 모집에 한해 증원된 정원의 50%까지 자율 모집할 수 있게 한 점을 언급하기도 했다. 박 차관은 “전공의와 학생들이 집단행동을 풀고 병원과 학교로 돌아갈 수 있게 하려는 정부의 고뇌에 찬 결단이라는 점을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또 “국민 건강을 위한 의료 개혁을 추진하면서 지금의 갈등 상황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위해 정책적 결단을 내린 것”이라며 “의료계와 의대생들은 열린 마음으로 정부의 노력을 이해해 주시기 바라며 정부와의 대화에도 적극적으로 임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의대 증원 절차가 사실상 이달 말 종료되는 만큼 조속히 대안을 제시해 달라고 요구했다. 박 차관은 “각 대학에서 이달 말까지 2025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 학칙을 개정해 증원 신청을 하면 사실상 절차가 종료된다”며 “더 늦기 전에 합리적이고 단일화된 대안을 제시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유연함과 거듭된 대화 제안에도 불구하고 의대 증원 전면 백지화를 요구하며 집단행동을 하는 것은 지금의 상황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