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올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초청받지 못한 것에 대해 조국혁신당이 “눈 떠보니 후진국”이라고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도 “윤석열정부가 중요한 자리에서 배제됐다”고 공세를 폈다.
강선우 민주당 대변인은 20일 브리핑을 통해 “윤석열정부는 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사태, 한반도 신냉전 등 급박하게 돌아가는 국제정세를 논의할 중요한 자리에서 사실상 배제된 것”이라며 “편향적 외교안보 정책을 버리고 국익 중심 실용 외교로 정책 기조를 전환하라”고 촉구했다.
앞서 한국은 오는 6월 이탈리아가 개최하는 G7 정상회의에 초청받지 못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미국과 영국이 각각 의장국이던 2020년과 2021년 G7 정상회의에 참석했었다.
민주당은 “글로벌 중추국가’의 기치를 내걸고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겠다던 윤석열정부의 ‘G7 플러스 외교’가 무색해졌다”며 “대중 관계를 희생시키면서까지 미·일을 비롯한 서방국가와의 연대를 강화해 왔음에도 이런 결과라니 참담할 지경”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 측이 “올해 의장국인 이탈리아는 자국 내 이민 문제와 연결된 아프리카·지중해 이슈 위주로 대상국들을 선정한 것으로 이해하고 이를 존중한다”고 설명한 것을 두고는 “G7 정상회의가 개최국 이탈리아의 국내 정치와 관련된 이슈들만 다루는 자리냐”고 되물었다.
민주당은 또 “일각에서는 윤석열정부의 편향적인 외교안보 정책이 오히려 ‘코리아 리스크’를 더욱 키우고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며 “이번 G7 정상회의 초청 불발을 포함해 그간의 실패한 외교안보 정책을 성찰하고 국익 중심 실용 외교로 정책 기조를 전환하라”고 요구했다.
조국혁신당도 비판에 가세했다. 지난 정부에서 국립외교원장을 지낸 김준형 당선인은 논평에서 “‘선진국 클럽’이라고도 불리는 G7 정상회의에 대한민국은 초청받지 못했다”며 “‘눈 떠보니 후진국’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G7이 G8, G10으로 확대할 경우 대한민국은 당연히 회원국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며 “그런데 윤석열정부가 이념외교, 가치외교로 일관한 탓에 정식 회원국은커녕 이제는 초청국이 되기도 어려울 것 같다. 윤석열정부는 지금이라도 국민을 위한 외교, 국익 중심의 실리외교 노선으로 바꾸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