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는 17일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의대 증원 등을 둘러싼 의정갈등 사태를 조속히 해결해달라고 요구했다.
김성근 의협 비대위 언론홍보위원장은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어제 대통령께서 총선 후 처음으로 입장을 발표한 내용에서 현재의 의정 대치 상황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어 안타깝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현재 상황이 단순히 의료 개혁을 언급하고 합리적인 의견에 귀를 기울이겠다는 단순한 표현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고 계실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중차대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간이 우리에게 많이 남아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어 “의료 개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의료계와 정부, 사회 각계가 당장 머리를 맞대고 의논하고 결정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며 “이를 이른 시간에 해결하기 위해서는 의대 정원 증원 정책으로 인한 의정 대치 상황이 지속되는 것은 안 될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공의들이 돌아오지 못하면 내년에 전문의 2800명이 배치되지 못하며, 학생들이 돌아오지 못하면 당장 내년에 의사 3000명이 배출되지 못한다”며 “지금의 상황이 더 길어지면 교수들의 사직서 수리와 상관없이 경영 압박으로 많은 대학병원이 구조조정과 도산의 위기에 빠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현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분은 대통령”이라며 “의대 정원 증원을 멈추고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기구에서 새로 논의할 수 있도록 방침을 바꿔달라”고 거듭 요청했다.
더불어민주당이 추진하는 ‘의대 증원 공론화 특별위원회’는 김윤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당선인이 주도하는 이상 의협 차원의 참여가 어렵다는 입장을 내놨다.
김 위원장은 “의료계에서는 지금의 문제를 야기하는 데 원인을 제공한 인물로 김 당선인을 꼽고 있다”며 “의료계 대부분에서는 김 당선인이 이끄는 위원회들은 보이콧하게 될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사 수 추계 기구를 설치한다면 위원회 구성 중 과반수가 의사로 구성돼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다른 나라의 예를 봤을 때 의사 수 추계 위원회는 의료계와 정부가 일대일로 만나거나, 의사가 과반을 차지한다”며 “목적에 따라서 위원회가 구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승연 기자 kite@kmib.co.kr